"고란살(孤鸞煞)" 특징 - 남편이 첩을 얻거나 생사를 달리하거나 또는 이별한다는

"고란살(孤鸞煞)" 특징 - 남편이 첩을 얻거나 생사를 달리하거나 또는 이별한다는
고란살 (첩사주)

고란살 (孤鸞煞)

 

일지인 배우자 궁에 비겁이나 식상이 있는 경우 고란살이 됩니다.

孤 외로울, 홀로

鸞 난조새, 방울

부부화합을 상징하는 난조새가 홀로 있음이요,

행복한 방울소리가 외로운 방울소리로 들림이니

애달픔이 서려있는 것이다.

고란살이 등장하는 문헌은

고시결, 성평해회, 삼명통회, 명리신해 등이 있다.

 

 

고란살 일주

 

‘남편이 첩을 얻거나 생사를 달리하거나 또는 이별한다.’는 의미로

일명 신음살(呻吟煞)이라고도 한다.

 

즉, 괴로움에 신음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여자인 경우에 해당하는 신살류라고 볼 수 있다.

 

일간
일지

甲寅 乙巳 丁巳 戊申 辛亥 庚子

이상의 여섯 일진(日辰)이 해당된다.

고란살(孤鸞煞) 의 특징

1.특별히 女命 일주에서 논하는 경우가 많고 “여명신살”이라고 부른다

2.자기 주장이나 주관이 뚜렷하고 호승심, 승부기질 등이 발달한다

3.격국이 성격되고 조화로우면 오히려 성공한 사업가의 명이 된다

고란살의 내용

1.남편과의 애정생활이 원만하지 못함

2.남편이 무능하거나 신체장애를 겪을 수 있으니

여성이 가장이 되어 본다.

3.남녀간에 독수공방하는 것이니

남자는 남자대로 여자는 여자대로 사생활을 가져본다.

4.고란살을 가진 여인은

성취욕, 자유분방, 열정, 처세술 등이 남다르며

현대에는 직업으로 사용하니 한분야에 전문가로 발전한다.

 

남자라도 비겁이나 식상의 흉조는 완전히 배제될 수 없다고 보며

丙午 戊午 己酉 壬子日 출생도 이에 준한다고 한다.

 

부군의 외도나 작첩으로 인하여 부부간의 애정이 소원하고

부군이 무능하기 때문에 여자가 직업을 갖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재관의 조화가 양호하면 가정화목에 부부 해로한다.

반응형

본래 고란살은

甲寅 木虎定居孀 나무호랑이는 과부로 정해져 있고

乙巳丁巳 木火蛇無壻 나무 뱀이나 불 뱀은 남편이 없고

戊申 土猴常獨臥 흙 원숭이는 항상 홀로 잠자며

辛亥 金猪豈有郞 금 돼지가 어찌 낭군이 있겠느냐?

 

이상의 다섯 일진을 말하고 있으나

 

庚子는 금수한랭에 일지 상관이므로 고란에 포함시킨 듯 하며

일부 고서에서는 물뱀인 癸巳도 고란으로 간주하고 있다.

 

고란과 비슷한 쌍진(雙辰)이라는 것도 있는데

雙辰一殺最刑傷 쌍진은 살로서 가장 괴로움이 크고

干帶同干支帶雙 간지가 동일한 것이 이위(二位)가 있는 것으로서

男當鰥寡女居孀 남자는 홀아비요 여자는 과부로구나 하였다.

 

또 쌍진과 비슷한 금신살(金神殺)이라는 것도 있다.

 

女命生年生日同一樣者 여명에서 생년과 생일의 간지가 동일하면

金神殺 多主剋夫 금신살로서 남편을 극한다. 라는 말이 있는데

금신인 乙丑 己巳 癸酉와는 전혀 다르다.

부인총결(婦人總訣 淵海子平)에서는 고란을

木虎孀無壻 나무호랑이는 남편이 없는 과부요

金猪豈有郞 금 돼지가 어찌 낭군이 있겠으며

赤黃馬獨臥 붉은 말이나 노란 말은 홀로 잠자며

黑鼠守空房 검은 쥐는 공방을 지키나니

主女寡而男孤 여자는 과부요 남자는 홀아비이다. 

 

 

고란살은 적중률이 매우 높은 신살이지만

희기(喜忌)를 봐야 할것 입니다.

예를 들어서

癸 甲 壬 ㅇ

酉 寅 子 ㅇ

이러한 사주의 여성이라면

사주에 금수가 너무 강해서 나무가 부목(浮木*물에 떠다니는 나무)이 되는데

일지(日支) 인(寅)은 무토(戊土) 병화(丙火)를 머금고 있으므로 부목을 막아주는 고마운것이므로 고란이라고 해석을 하기에는 과하다는 해석을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남편 배우자의 조력이 있을것이며

戊 戊 丙 ㅇ

午 申 午 午

이러한 사주라면 오월 무토가 오시에 출생한데 병화가 월시(月時)에 양인(陽刃)을 가지고

천간에 출현(出現)하였으므로 화기(火氣)가 아주 치열하다.

본래 무토는 조열토(燥熱*마르고 뜨거운)이므로 임수(壬水)로 적셔주고 경신금(庚辛金)으로

임수를 돕는다면 기쁠것이고 신자진해축(申子辰亥丑)운을 만나야 비로서

때 를 만나게 될것 입니다.

일지(日支) 신(申)은 임수(壬水)를 머금고 경금(庚金)을 뜻한데

12운성(運星)에서 임수의 장생 경금의 건록 이니 사주에 조화를 주는것인데

월시(月時) 오(午)에 극(剋)을 당하고 있으니 아쉬운 형국이지만

신(申)이 없었다면 더욱 조열해 지므로 사주가 아주 천(賤)해지게 되는것을 막아주므로

일지(日支)에 있으므로 배우자의 품성이 좋을 것이라고 추리하게 됩니다.

 

 

 

이와같이 희기(喜忌)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는데

무조건 고란만 있으면 과부니 남편덕이 없느니 이혼하라느니 하는 술사들을 많이 봐왔는데

이러한 명리가들은 각성하여 공부에 정진하여야 할것 입니다.

 

 

일석(逸石)정통명리학 선생님의 말씀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