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신의 상극관계 - 상관패인 과 도식 (1) 상관패인 1.상관의 특징상관은 한가지 방면으로 뛰어난 소질과 현장발휘능력의 탁월함을 갖춘 인물이다 이러한 능력을 자유로운 환경에서 발휘하고 싶어 한다. 2.세상 과 상관정관으로 대표되는 세상은 어느 사회를 막론하고전체의 목적성에 따른 규정과 전통, 관습 등이 있게 마련이다. 상관의 자유로운 행위는기존의 세상에 대하여 불평과 불만, 어긋남이 있게 된다 - 상관견관 현상 3.정인의 역할정인은 정관을 수호하며 기존질서 체계를 발전시키는 임무수행을 하고 있다(관인상생) 이에 상관을 자제시켜 조직에 어울리는 행위를 하게 함으로서 상관이 정관에 필요한 인물이 되게 만들어 준다. (관인상생→ 상관제화→ 관인상생, 전체목적에 부합되다) 4. 상관패인전체목적에 맞는 운영원..
관인상생과 살인상생의 특징+차이점 1. 관인상생 (정관격, 정인격, 건록격에 해당) ① 정관과 정인의 상생 관계이다 (순식) 정관의 직무 - 가정과 사회조직을 안전하게 운영하는 것 정인의 직무 - 정관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적합한 수행력 (교육과 행정 등의 공무) 정관이라는 조직의 책임자나 가정에서 가장이 추구하는 목적과 방향에 맞게 정인이라는 조직원이나 가족구성원들이 각자 맡은 임무를 성실히 수행하는 모습이다 상하, 신분에 맞게 짝을 이루어 조직과 가정을 이끌어 나가는 인간관계의 기본 틀이 된다 ② 정관과 편인의 상생관계 (화식) 정관의 직무 - 가정과 사회조직을 안전하게 운영하는 것 편인의 직무 - 개별능력에 따른 과업수행으로 연구 및 정책수립 정관의 목적에 살인상생 즉 편관과 편인의 외부대항적이고 ..
인아식 (정인, 편인 + 일간 + 식신, 상관) 인아식은 인성격이 관인상생이나 살인상생을 얻지 못하고, 식상격이 식신생재나 상관생재를 얻지 못한 경우에 근왕한 일간이 인성의 지적 능력과 식상의 현장능력을 독립적으로 발휘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조직활동 보다는 개인적 특기를 자유롭게 활용하는 프리랜서 스타일을 의미한다 인성격에서 인아식을 이루면 지식체계를 기반으로 현장활동을 통하여 독립된 사회생활을 하는 것을 말한다 식상격이 인아식을 이루면 사회적 필요성에 따라 현장활동에 용이한 지적능력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① 정인격 + 근왕일간 + 상관 (정관×) = 지식능력을 활용한 사회생활 ② 편인격 + 근왕일간 + 식신 (편관×) = 전략과 기획능력을 활용한 사회생활 ③ 상관격 + 근왕일간 + 정인 (정재×) ..
정인正印의 관계 정인 正印이란? 정인을 설명하자니 생각이 교차된다. 문명文明에 촛점을 맞춰야 하는가? 문명文名에 맞춰야 하는가? 과학문명이며 물질문명이면 식상食傷일 것이다. 이런 생각을 해보자. 과학 문명만이 사람을 지키고 윤택하게 해 줄 것이라는 생각을 하는가? 이것 말고 살아있는 것이 있다. 정情이 그것이고, 인정人情 또한 그것이다. 인정認定도 있다. 인정仁政도 있다. 인정仁情도 있고.. 그것만 있는가? 인고忍苦도 있고, 인내忍耐도 있다. 밥을 먹으니 배부른가? 그리고 만족한가? 식상食傷이다. 인仁에 배부르고, 연戀(그리워하다)에도 부르고, 연連(연관되다)도 배부르다. 감기에 걸려 보았는가? 약을 먹어 약덕을 보았단 말인가? 식상食傷이다. 난, 우리 엄마 찾아가면 약 보다 효과가 있더라. (정인에 대..
"봉골레파스타" 영화배우 이선균 계묘년(癸卯年) 사망 사주분석 목(木)이 태과(太過)한 사주인데 목풍(木風)이 불면 정화(丁火)가 꺼질 수가 있으니 목다화식(木多火熄)이 염려가 된다. 다만 무토(戊土)는 화로(火爐)의 물상이라 정화(丁火)가 잘 보존이 될 수 있다. 이것을 유화유로(有火有爐)라 말한다. 곧 불씨는 화로에 안착해야 잘 꺼지지 않고 장수(長壽)를 한다고 하여 화로에 놓인 불씨를 뜻한다. 그런데 계묘년(癸卯年)에 무계합거(戊癸合去)하면 무토(戊土) 상관(傷官)이 제거가 되는데 무토 상관의 제거의 해에는 진로가 막히니 진로 좌절이 나타난다. 이것은 목풍(木風)을 그대로 만나게 된다. 그 시점은 지지를 보고 확인한다. 즉 묘목이 일지궁과 묘미합목(卯未合木)이 되는 시점이다. 근묘화실(根苗花實)에 ..
모자멸자(母慈滅子) 엄마가 너무 자상해서 나는 숨이 막힌다. 부(賦)에 나온다. “금은 토의 생에 의지한다. 토가 두터우면 금이 매몰된다.” “목은 수가 양육하는 것을 따르지만 수가 많으면 목이 표류한다.” “화가 뜨겁게 타올라 토가 뜨거우면 만물을 기를 수 없다. (己일간이 午를 얻는 경우) “ “강한 금(剛金)은 수를 생할 수 없다. (庚일간이 戌을 얻는 경우)” (역주: 강금은 화에 극을 당해 사금(死金)이 된 경우를 말한다.) “왕한 토가 왕한 화를 보면 눈병, 종기, 열병을 앓는다.” “썩은 흙은 금을 생할 수 없다. 뜨거운 금은 수를 생할 수 없다. 사절(死絕)이 된 수는 목을 생할 수 없다. 이런 경우들은 자세히 살펴야 한다. 일괄적으로 인수로 논하면 안된다.”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