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재고(財庫)를 가진 명조로 부유한 사람이 많습니다. 그래서 말하길 재고(財庫)는 마땅히 충기(衝起)하거나 합기(合起)하여야 한다고 가르쳤습니다. 가장 중요한 핵심은 격국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성격된 사주에서 재고가 호충이 된 사람은 부자가 될 수 있습니다. 아래 두 사람의 명조가 이에 해당합니다. 1 거살류관(去殺留官)으로 재고(財庫)를 가진 사주라면 부귀할 수 있다 時 日 月 年 세운39 대운30 건 명 편관 일간 정관 겁재 비견 상관 六 神 壬 丙 癸 丁 丙 己 天 干 辰 子 丑 未 戌 酉 地 支 식신 정관 상관 상관 식신 정재 六 神 축(丑)중에 신금(辛金)은 재성(財星)인데 축토(丑土)에 보관중입니다. 고(庫)는 충하여야 얻을 수 있으므로 축미충(丑未沖)은 호충(好衝)으로 보는 것입니다 경술대운에..
시가 불명, 다만 월령 용신으로 직업 물상을 추론하면, 묘목의 상의 ① 묘(卯)는 해묘미(亥卯未) 삼합의 왕지(旺地)이니 목(木) 운동의 중심에 서 있죠. 그러므로 매우 왕성하니 “퍼지다, 발산하다”라는 상징이 있어요 이건 병화의 발산과는 특성이 좀 다릅니다. 병화는 기(氣)의 퍼짐이고 묘목은 질(質)의 퍼짐이니까요. 그래서 병화의 발산은 방송 언론 연예 계통에서 주로 나타나고 묘목의 발산은 성장, 발육, 교육, 사춘기의 특징으로 나타납니다 ② 묘(卯)는 어린 삯이 땅을 뚫고 나와 잎이 가늘고 길게 나눠지는 형상이죠. 그러므로 “가늘고 길다”라는 특성을 가집니다. 그러므로 바늘에 달린 실, 붓글씨, 봉제공장, 대나무 공예품, 등입니다. ③ 묘(卯)는 손가락을 상징하고 아침 시간이라 치장하고 가..
사주전체가 매우 차고 어두우며 조후를 상실했습니다 따뜻한 기운이 없어 살갑지 아니하고 살가워도 표면적인 모습입니다. 癸水는 천간기운의 마지막 글자 亥水는 지지 글자의 마지막 글자이니 끝장 보는 성격이고 해수는 육음(6陰) 으로 그 陰氣가 매우 춥습니다. 월지 丑은 합,형에 따라 글자 계절의 온도가 달라지는데 주변의 기운으로 水의 역할즉,방합을 하게 되는데 꽁꽁 얼어 있는 사주입니다. 천문을 놓아 형이상학적인것에 관심이 많고 亥水속 지장간 甲木 상관은 법질서를 무시하고 잘못된것은 끝까지 바로 잡아 내고 캐내는 성격이라 기자나 연구원들에게 많은데 잘못 사용 된 경우가 되겠네요 亥와 丑의 격각으로 하고자하는일 ,부모님, 직업이 뜻대로 되기보다는 늘 고전을 면치못하게 되는 모양이네요 원래 계해 일주는 영민하고 ..
유월(酉月)의 계수(癸水)를 난강망에서는 “금백수청(金白水淸)”이라 말한다. 난강망에서 말하길 대개 두 가지를 금백수청(金白水淸)의 대명사로 말하였는데 곧 신금(辛金)일간이 임수(壬水)와 병화(丙火)를 바라보면 금백수청(金白水淸)이라 하였고 또 계수(癸水)일간이 신금(辛金)을 바라보면 금백수청(金白水淸)하다고 하였다. 이것을 계절로 풀어보면 해월(亥月)의 신금(辛金)일간이고 유월(酉月)의 계수(癸水)일간이 금백수청(金白水淸)에 해당이 된다. 결국 핵심은 신금(辛金)과 계수(癸水)이다. 만약 신금(辛金)이 임수(壬水)를 바라볼 적에는 반드시 병화(丙火)가 함께해야 조건이 성립이 된다. 경금(庚金)은 완금(頑金)이라 탁(濁)하여 허령(虛靈)한 신금(辛金)과 비교할바가 안되므로 금백수청(金白水淸)이 되기 ..
질의 한류생활(寒儒生活)로 세월(歲月)을 보내던 (1) 상기 명조가 자(子)대운에 음료수 유통이나 술집이 아니고 왜 여관업을 하는가? (2) 해(亥) 대운에 다시 양조장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설명 -상기 명조는 다토(多土)태중(太重)하니 반드시 을묘(乙卯)가 꺽이는 형세이다. [목능극토(木能剋土)이라도 토중목절(土重木折)이다] 드넓은 사막초원에 언제까지 갑을 목(木)을 심겠는가? 심다가 세월 다 지나간다 그래서 초년 목운(木運)이 한류생활입니다 다토(多土)인 사주에 다목(多木)은 소통이 오히려 막힌다고 하였는데 고로 사주가 정체(停滯)가 된다. 이게 목토(木土)상쟁(相爭)입니다. 일반적으로 무기(戊己) 토(土)가 용신이 되면 부동산 흙 관련 업종이 많다 병화(丙火)가 상신(相神)..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