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론(日主論)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갑자(甲子)

군자다운 성품에 덕성과 인정이 있으며 옛것을 좋아한다.

그러나 호색하는 편이고 끈기도 부족하며 이동이나 변동이 자주 있다.남성은 말수가 적고 점잖은 듯 하나 사실은 호색가 많고 여성은

결벽증이 있고 특히 유산이 되기 싶다.

 

을축(乙丑)

근면 성실하고 학문과 예술을 사랑하며 처를 아끼는 편이고 공처가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하지만 배짱이 없고 소심한 편이며 무용의 고집이 재난을 초래하기도 한다.남녀모두 대식가가 많고 장수할 운의 소유자이며 여성은 일반적으로 정조관념 부족해 연하의 정부를 가지는 경향이 있지만 금전적인 면에서는 내조의 공을 기대 할수 있는 사람이다.

 

병인(丙寅)

급하고 강한 성품으로서 포부가 크고 지혜가 있으며 학문을 숭상한다.재주도 발군이며 권위를 동경하고 질서를 중시하는 봉건적 기질이 있다.사치와 허영을 좋아해 실속이 없는 편이고 바람기가 있다.

여성은 애교있고 호감 받으니 섹스어필은 아니다.

 

정묘(丁卯)

명랑하면서도 조용하며 철학이나 공상을 좋아하는 신비주의적인 기질이 있다.개방적인 것 같으나 경계심이 많고 내면을 감추는 편이며 불평불만이 많고 인색하고 협소한 경향이 있다.남성은 군자 형으로 다방면에 풍부한 소질이 있고 여성은 비 정력적이니 정력가는 피하는 것이 현명하다.

무진(戊辰)

소박하고 안정적인 기질에 인간적이 매력이 있으며 이타심과 덕성도 있지만 그렇게 퐁성한 편은 아니고 간섭과 속박을 싫어하며 타인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는 편이다.남성은 정력가이지만 상대에게 맞추는 서비스 정신은 부족하고 여성은 이성교제에 적극적이다.

 

기사(己巳)

지혜가 있고 겸손하며 인정도 많고 책과 배움을 좋아하며 교양적이다.내성적이고 소심한 편인데도 급한 일면이 있으나 대체로 그릇은 큰편이다.남성은 연상과 여성은 연하와 관계를 갖기 쉬운 경향이 있다.특히 부가 출신은 말년퇴락 빈가출신은 말년유복 하게 된다.

*일주(日主)는 일간(日干)과 일지(日地) 를 통틀어서 말하는

명리 용어 입니다.

일간은 본인이기 때문에 일지는 나의 가장 가까운 해당 통변성이므로

통변이 정확하기 때문에 일주론이라는 공부 학습자료가 있으니 실전에서 왜 그러한지는

하나씩 짚어 보겠습니다.

갑자 일주는 일지에 인성이지만 12운성법에서 목욕(沐浴)에 해당하므로 끼가 넘치는 사람입니다.신살에서 도화에 해당이 되므로 그 가중치가 플러스 되게 되며

만약 겨울철에 출생했다면 배우자의 덕이 좋지 못하겠지만 여름철 출생이라면 수생목 해주므로 배우자의 덕이 좋을수 있으며 그렇지만 항상 다른 이성을 생각하게 될것입니다.

을축 일주는 일지 편재로써 재물의 아쉬움은 크게 없는 구성이 됩니다.

다만 여명(女命)이라면 남편 관성의 묘지(墓地)를 가지므로 남편과의 관계가 원활하지 못할수 있다는 해석도 같이 합니다.

겨울철 출생이라면 배우자 덕이 좋다고 할수 없으며 여름철 출생이라면 축(丑)은 습토(濕土)이므로 배우자의 덕이 좋을수도 있다는 해석을 해봅니다.

병인 일주는 스스로 장생(長生)이므로 병화가 왕성해 지는 느낌이 됩니다.

겨울출생이면 온목(溫木*따뜻한나무)이 있으므로 배우자의 덕이 있을것이고 봄여름 이라면 그반대가 되는 조건이 됩니다. 병인 일주는 신살(神煞)에서 홍염에 해당하므로

이성에게 인기있는 경우가 있다는 해석을 하게 됩니다.

정묘 일주는 일지 왕목을 가지므로 가을 겨울 출생이라면 배우자의 덕이 좋을것이지만

봄여름 출생이라면 반대가 될것이고

스스로 도화에 앉아 있으므로 겉으로 보기 보다는 음란 음흉 할수 있다는 뜻도 내포 합니다

대범하지 못한것도 있으므로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무진 일주는 비견이 같이 있으므로 신왕해지는 조건이 되고

본래 무토는 조토(燥土)인데 습토가 있으면서 도움을 주는것은 좋은모습으로 일단 해석을 합니다. 신살에서 백호에 해당하므로 그러한 흉(凶)은 일지를 충(沖)하거나 동일한 지지에 동(動)할수 있으며 재물의 고(庫*창고)를 가지고 있으므로 재물이 아쉽지는 않을것입니다.

기사 일주는 일지의 화생토 하여 병화 무토의 건록(建祿)이므로 신왕해지는 조건이 됩니다.

가을 겨울출생이라면 더욱 좋을것 이며 여름출생이라면 그 반대가 될것 입니다.

일주론은 일단 단식 판단법이 됩니다.

팔자 전체를 봐야 하므로 이러한 학습법이 있다는 것을 참고하여 공부 하시기 바랍니다.

 

[ 명리학 : 내 사주팔자 내가 공부하기 / 네이버 밴드 ]

 

구독♥ 해주시고 많은 명리학 정보 받아보세요. 

 

https://band.us/page/91485566/post/7

 

[명리기초] 지합(支合) 방합(地支方合) 지합(支合) 방합(地支方合) ​ ①인묘진 동방합(寅卯辰 東

사주팔자를 알려주는 나무늘보 : BAND Page

band.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