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만나지 못하는 것, 격각살

격각살
격각살

격각살


隔격 - 사이, 간격, 멀어지다, 떨어지다
角각 - 뿔, 모서리

1.격각살의 의미

①뿔과 뿔사이의 간격을 이른다, 뿔과 뿔사이는 거리가 있다(소, 사슴)
격각이란 뿔과 뿔 사이가 일정한 간격이 있는 것처럼
어떤 관계 사이에 좁힐 수 없는 거리가 존재함을 말한다

②모서리(각)는 두 개 이상의 선이 만나는 지점이다
격각이란 어떤 방해나 장애로 인해 서로 만나지 못함을 말한다
~이루지 못함, 좌절됨

이렇게 격각살은 두 가지의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2.격각살의 구조

격각살은
삼합의 순환운동에서 만들어지는 배열의 한 구조로 지지신살의 종류이다 

신자진 삼합의 격각 → 신술자, 자인진, 진오신
인오술 삼합의 격각 → 인진오, 오신술, 술자인
해묘미 삼합의 격각 → 해축묘, 묘사미, 미유해
사유축 삼합의 격각 → 사미유, 유해축, 축묘사
반응형

가령 申子辰 삼합의 반대편운동이 寅午戌 이다.
申과 子 사이의 戌,
子와 辰 사이의 寅이 방해요소로 작용하여 격각살이 되는 것이다


子에서 辰으로 가는 삼합운동에서 寅이 격각이다
辰에서 申으로 가는 삼합운동에서 午가 격각이다
申에서 子로 가는 삼합운동에서 戌이 격각이다

가만히 보면 어떤 글자든 간에 3위(位)의 글자가 격각이 되는 셈이다
子 기준 寅(3위, 3번째)
丑 기준 卯(3위, 3번째)

세운으로 본다면 3년에 한번씩 격각운이 오는 셈이 된다

신살의 관점은 이렇듯 반대운동성을 단순하게
간격, 방해, 장애로 보고 길흉을 판단하는 단편적인 술수이다

3.격각살의 통변

격각살의 통변은 년지삼합법(12신살) 과 궁성론에 따르는 통변술이다
지나친 과장이나 확대해석은 금물이다

①지지의 궁성론에 대입하여 해당하는 대인관계성에 적용한다
부모자식, 부부 사이 등 공동체에서 떨어져 지내는 경우가 많다,
기능성 위주이니 사안이 있으면 협업하나 생활은 따로 한다던지 하게 된다
~따로 또 같이, 가깝고도 먼 사이

예를 들어

卯丑亥亥 건명

월지,일지,시지가 격각살을 타고 났다
부모,부부와 자녀사이의 거리감을 말한다
일지(丑)가 월지(亥)와 시지(卯)의 사이를 멀게 만든 것이다

②년지삼합법에서
년지와 월지의 삼합은 재물복,

년지와 일지의 삼합은 인복을 논하는데
격각이 있으면 해당 복덕이 반감하게 된다

예를 들면


卯丑亥亥 건명
亥年生이니 해묘미삼합이 선천복덕을 이룬다


년지와 일지가 격각이 되니 인덕이 반감되는 특징이 있다
격각과 상충으로 인한 복덕의 상실과의 차이는
유시무종이나 변심 등으로 나타난다

③세운에서 격각을 만나게 되면
해당 궁성의 저조,침체,지체 현상으로 통변한다

년지삼합의 격각이 되면 상충의 전조현상이 벌어지니
계획이나 추진하는 일들이 방해를 받게 되어
지체되거나 중지되는 현상을 겪게됨을 말한다.
~일에 있어서 중간중간 변화, 수정, 교체, 조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2023년 癸卯년은 丑년생과 巳년생의 경우 격각에 해당된다
왕지의 격각운이니,

승진이나 명예로운 일들에는 멀어지는 현상이 일어나거나
조직의 사오분열이 일어나기 쉽다


특히 월운에서 상충되는 월과 격각이 삼합을 이룰 때 일어나게 된다

癸卯년 未월과 亥월이 丑년생과 사년생의 경우는
격각살의 흉함을 경험하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