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친론] 부모운은 어떻게 판단하는가? 나의 부모복은?

(부모복)부친운,모친운은 어떻게 판단하는가?

사주팔자 부모복
사주팔자 부모복

 

적천수 육친론에

 

父母或興或有替 (부모혹흥혹유체) 부모가 흥하고 혹은 쇠하는 것은

 

歲月所關果非細 (세월소관과비세) 세월에 관계됨이 적지 않은 것이다. 

 

부모와 인연의 후박(厚薄)은

연주와 월주로서 결정된다는 뜻이다.

이 적천수 원문을 서락오(徐樂吾) 선생은

인성을 모친으로 보는 것은 실험상 확실성이 있지만

재성(偏財)만큼은 부친으로만 보는 점에 구애되면 안 되고

부모의 추단(推斷)은 육친의 궁위(년+월주)를 중요시하여야 하고

 

또 신약인데 일간의 뿌리가 년 월주에 통하거나

신강인데 년 월주에 희신이 모이는 경우에는

부모의 비호(庇護)를 받지 않는 자가 없으며

인성이 투간(透干)하였는데

일간이나 용신에 기신이 되는 경우나

년 월주에 있는 희신이 합合하거나 충沖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부모에 의하여 해(害)를 받게 된다.

이 이치는 징험이 있다. 라고 적천수 보주(補註)에서 말하고 있다.

※징험(徵驗) : 징조(徵兆)를 경험함이니 앞에서 보인 징조가 들어맞는다는 뜻

 

연주(年柱)는 근기(根基)를 나타내는 궁위이기 때문에

이곳이 부모와의 길흉을 판단하는 중요한 곳이지만

그러나 반드시 부모와의 길흉만이 해당된다기보다는

부모와 지대한 관계가 있는 곳이라는

보다 신축성 있는 간명(看命)태도를 가져야 되리라 본다.

그러므로

부모운에 대한 판단의 원칙을 정리하여 본다면

 

반응형

1.연주와 월주를 부모의 궁위로 삼는다.

 

2.인성은 모친이다.

 

3.재성을 일단은 부친으로 간주하되 단정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궁위나 희기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에

무리한 판단은 망단(妄斷)이 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4.인성이나 재성이 희신이면 일단 부모덕이 있다고 보고

연주나 월주에 희신이 많은 경우도 동일하게 간주한다.

 

5.연주와 월주에 기신이 많으면 부모 인연이 박(薄)한데

기신이 비겁이면 부친 인연이 박하고

기신이 재성이면 모친 인연이 박하다.

 

6.연주나 월주의 희신이 합合이나 충沖으로 그 작용을 상실하면

부모와의 인연은 극히 흉하다고 본다.

 

실전 예를 보면

 

甲 辛 辛 丙

午 ㅇ 丑 ㅇ

 

소한(小寒)절기의 신금(辛金)이 한냉(寒冷*차갑고 얼어있음)한데

병화(丙火) 태양화(太陽火)가 투간(透干*천간에 나타남)하여

온기(溫氣*따뜻한 기운)를 주고 있는데 월간(月干) 신(辛)이 나타나서 병신합(丙辛合)하여 그 좋은 작용을 묶어 버리므로

정관(正官)이 작용을 못하게 되는데 묶어버리는 것이 신(辛)이므로

비견(比肩)형제가 합하는것이고 월주(月柱)는 부모궁(父母宮)이므로 초년 부모의 혜택을 보지 못하고 일이 내맘대로 되지 않는

사주(四柱)가 되므로 부모의 덕이 좋다고 말할수 없게 됩니다.

 

甲 庚 辛 ㅇ

申 ㅇ 未 丑

 

인수격(印綬格) 신강(身强) 극인무방형세(剋印無妨形勢)

고(故)설금생목지수(泄金生木之水) 희신(喜神) 토금기신(土金忌神)

토인왕성(土印旺盛) 수기신(雖忌神) 귀인작용(貴人作用)

모연길화(母緣吉化)재성부친(財星父親) 수희신(雖喜神)

무근우궁위리탈(無根又宮位離脫) 조별(早別)

 

 

 

모자멸자(母慈滅子) 엄마가 너무 자상해서 나는 숨이 막힌다.

모자멸자(母慈滅子) 엄마가 너무 자상해서 나는 숨이 막힌다. ​ 부(賦)에 나온다. “금은 토의 생에 의지한다. 토가 두터우면 금이 매몰된다.” ​ “목은 수가 양육하는 것을 따르지만 수가 많

kingant1541.tistory.com

 

 

과부살(과숙살)의 특징과 작용력

과부살(과숙살)의 특징과 작용력 ① 과숙살의 정의 여자의 경우는 과숙살과 관묘가 함께 있으면 남편을 잃고 과부로 살아가게 된다는 의미이다. 과숙은 과부살이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40대 이후

kingant154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