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천수 격국론(格局論) - 식신제살격(食神制殺格) 이란?

사주팔자 식신제살 격국론

 

적천수(滴天髓) 격국론(格局論)

 

재성과 관성 인성은 편과 정으로 나누며

식신상관을 논하여 여덟 가지 격국을 정한다.

멀리서 영향을 주는 것은 이미 헛된 것이며

잡기재관과 같은 것에 구애받아서는 안 된다.

 

정격(正格)에는

관인(官印) 재관(財官) 살인(殺印) 재살(財殺) 식신제살(食神制殺)

상관생재(傷官生財) 상관패인(傷官佩印) 등이 있고

 

변격(變格)에는 

종아(從兒) 종재(從財) 종살(從殺) 종강(從强) 종왕(從旺) 종기(從氣)

종세(從勢) 일행득기(一行得氣) 양기성상(兩氣成像) 등이 있다

 

여덟 가지의 격국은

명리 이론가운데 가장 올바른 이치인바

먼저 월령을 보고 어느 지지를 얻었는지

다음에 천간에 누가 투출되었는가를 보고

다시 무엇이 사령인지 연구하여 진가를 정하고

그리고 나서 용신의 청탁도 살펴보는 것이다.

 

만약 월지에 비견겁재가 있는 경우

격이 없다고 보아 취할 수가 없으니

모르지기 일주의 희기를 살펴서

다른 지지에서 천간에 투출된 자를

용신으로 빌려 쓰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올바르면 

반드시 오행의 일반 이치를 따르게 되고

변화를 추구하면

반드시 오행의 기세를 따르게 되는 것이다.

 

반응형



식신제살격(食神制殺格)

식신은 기본적으로 일간이 식신을 생하는 것으로 

음양이 같은 것을 말하는데

일간이 생하는 표현성,재화에 관계된 

유형적,무형적 성분,수단

때로는 심미적,정신적 수단과 기술이 표현되어 

나타나는 것 등을 상징하며

의식주에 관계된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사주에 식신이 발달되어 있는 사람은 

표현 능력이 좋으며

이것을 외부로 잘 나타내기도 하며 이것이 조리적으로 잘 생성되어 나타나기도 합니다.

식신은 길신으로 분류하지만 식신이 지나치고 

일간이 지나치게 약하게 되면

겉으로 나타나는 것에만 집착하게 되어 외화내빈 

겉은 그럴 듯 한데

내용은 부실한 현상이나 일간의 신약과 설기로 인하여

안좋은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른바 도기가 되는 것입니다.

사주가 신강한데 인성은 왕한데 식신이나 식상이 없거나 미약하면 

생각은 많으나 이것을 나타내거나 표출하기가 어려우니 

자신의 생각,사상을 표출하고 펼치기가 어렵게 됩니다.

이 경우 사람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말할 때 

장황하거나 뜬 구름 잡는식으로 나타나거나

하여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렵게 됩니다. 

아니면 표현 자체를 잘 안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표현 능력을 키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사주에 편관이 지나치게 강하거나 정관이라 하여도 

관성이 지나치게 많거나 하여

일간을 강하게 위협하게 되면 칠살이 되니 이 경우 

적절하게 제해야 합니다.

칠살을 제살制殺  하는 것은 식신이고 화살化殺 하는 것은 인수입니다.

이른바 식신제살,살인상생이 되는 것입니다.

식신으로써 칠살을 제압하는 것인데 이것은 

자신의 전문성,지식,기술,표현 능력 등으로

강왕한 관살을 상대하는 것이니 전문성을 갖추어 

관과 조직 등을 상대하여

내가 살을 상대할 수 있는 전문성을 인정받는 것입니다.

현대적으로는 경찰 등의 무관 형태가 될 수도 있고

전문성이나 위험성이 높고 사회 공헌도가 높은 직군이 될 수도 있습니다.

식신제살이 옛날 고전명리 이론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이유는 

이런 사주가 다는 아니지만 공공성,위험도가 높거나 

국가 기관에 관계된 일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아무래도 옛날 명리 이론은 명예를 중요시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일간이 지나치게 신약할 때 식신제살하게 되면 일간이 설기가 심하게 되어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 때는 인성으로 화살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식신제살은 일간이 어느 정도 힘이 있어야 하며 

일간의 주체가 위험과 인내를 감내해야 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전문성과 더불어 관살에 맞출 수 있는 능력과 희생도 요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재성이 적절히 생조하면 관살이 살아나며 

재생관이 되니 더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식신제살은 편관격이 잘 제화되어 통제력과 조절력,협조력을 갖춘 모습과 비슷한 면도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식신이 과다하고 살이 상대적으로 너무 약해지면 

제살태과가 되는데

이렇게 되면 식신제살이 어려워지는 것으로 

이는 지나친 자기 과신,과대포장이나

자신의 통제력,인내심을 발휘하여 관살에 맞추는 것에 실패하는 것으로

이런 경우 운에서 관살을 생조해 주면 도움을 받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식신제살에 필요한 것은 전문성을 키우는 것,

그리고 책임감과 인내심,희생 정신,

그리고 그것을 감당해 내는 강인함,

때로는 공공에 대한 봉사정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 격국으로 판단이 되지 않는

비천록마(飛天祿馬) 임기용배(壬騎龍背) 육음조양(六陰朝陽)등의

암충(暗沖)이나 암회(暗會)로 이루어지는 격국들은 이미 헛된것들이니

취하면 안 된다는 말이다(임철초,서락오)

 

또 월지는 계절을 취하는 것이지

지지장간에 구애받아 잡기재관격을 논하면 안 된다는 의미이다.

 

특수잡격의 부당함에 대하여 다음의 명례(命例)를 들고 있다.

 

甲 丙 庚 己

午 午 午 巳

 

일반적으로 말할 때 병오일에 삼오가 있고 물이 전혀 없으며 중년운까지 수운(水運)이 없으니 필히 비천록마격(飛天祿馬格)이라 하여 이름과 재산이 쌍으로 빛날 것이라고 하지 안겠는가만 이 명을 모르는 소치인바 午主己土 巳中庚金의 원신이 투간하였으므로 진실로 화토상관격(火土傷官格)이다.

 

己巳戊辰運에 설화생금(洩火生金)하니 유산이 풍성했는데 丁卯丙寅운에 火土희용신이 모두 상하여 연이어서 화재를 만났고 또 두 처와 네 아들을 극했으며 가업은 완전히 깨어졌다.乙丑운에 습토가 회화생금(晦火生金)하고 또 합화(合化)유정하니 경영에서 큰 이익을 얻었고 처를 얻어 아들도 낳았으며 다시 집안의 명성을 드날렸다.甲子癸亥운에 수운(水運)이라 土를 적셔주고 金을 길러주니 수만금을 벌었거니와 만약 이 사주를 비천록마격이라고 한다면 수운은

엄청나게 불리할 것이다.(임철초)

 

식신(食神) 식신이 용신이면 겁탈해선 안되지만

용신이 아니라면 빼앗겨도 상관없다

재성(財星) 재성이 용신이면 겁재는 불가하고

용신이 아니라면 겁재가 극해도 무방하다.

정관(正官) 정관이 용신이면 손상되어선 안 되지만

용신이 아니라면 상진함이 가하다.

관왕신쇠하면 마땅히 인성의 운이 좋고

관쇠인왕이면 재운에 이로움이 있다.

인성(印星) 인수가 용신이면 무너져서는 안 되는데

용신이 아니라면 무너져도 관계없다.

편인을 사용할곳이 없다고 말하지 말라

살다식중하면 가장 좋은 양약이다.

편관(偏官) 칠살이 용신이면 제압함은 불가하고

제살이 태과하면 오히려 흉해진다

신살양정 제살하는 것이 마땅하다

신강살천하면 마땅히 살을 생해줘야 한다.(재성으로)

양인(陽刃) 양인이 중중하면 식상을 기뻐하는데

만약 관살을 만난다면 재앙이 발생한다.

양인을 흉물이라고 말하지 말 것이니

재와 살이 무리라면 정조를 지키는 협력자다.

록겁(祿劫) 재다신약하면 비겁의 도움이 마땅하고

겁중재약하면 식신을 기뻐한다.

이것이 자평의 참된 비결이니

후세의 학자들은 깊고 세밀하게 연구하라.

 

서 락 오 -

 

관살이 혼잡하면 모르지기 자세히 논하는 것이지만

관살혼잡도 가할 때가 있고 불가할 때고 있으며

상관이 관살을 보면 과연 분별하기 어려우나

그 또한 가할 때와 불가할 때가 있다.

 

신왕하면 살이라도 관이 되고

신약하면 관이라도 살이 되나니

살이 인을 생하고 인이 일주를 생하면

대궐 뜰을 거닐 것이고

재성을 감당하는데 다시 재가 살을 생한다면

안탑에 이름을 올릴 것이다.

 

만약 살이 중한데 일주는 약하다면

가난하지 않으면 요절할 것이며

살이 약한데 또 제어함이 과하다면

비록 공부를 해도 이룰수 없다.

 

관살혼잡은 대개 불길한 것이지만

1)경일 추동월(秋冬月) 신강의 경우와

2)살인상생국(殺印相生局)의 통관

3)살경제중국(殺輕制重局)의 세 경우는 예외로 간주한다.

 

甲 庚 丁 丙

申 申 酉 戌

 

酉月 경금이 월령을 얻고 지지 전국이 申酉戌로 方合하여 그의 기세가 왕성하다.양인격에 殺을 쓰는데 신왕살약(身旺殺弱)하니 재성으로 약한 관살을 생하여야 한다.초년 북방의 운은 불길하고 4운때 壬寅癸卯甲辰乙巳丙午丁未운이

동남으로 흘럿 빈가출신으로 태어나 자수성가(自手成家)하였다.

병화는 조후를 정화는 부귀를 주는 작용이요 갑목까지 투간하여 재성의 보필이 기쁘다.

 

庚 庚 丙 己

辰 申 寅 酉

 

춘금(春金)이 비록 당령은 못했지만 두 록왕을 만났고 또 辰時를 얻어서 인비가 생조하니 약한중에 강해졌다.이른바 재자약살(財滋弱殺格)이다.甲子운에 반수에 들고 창고를 넓혔으며 해(亥)운에 인(寅)목과 합하면서 병화도 절처봉생이 되니 무과에 합격하고 壬戌운은 지지서방(地支西方)이 되어 목화가 모두 손상을 받는다.

그래서 벼슬길이 막히고 애로가 많았다.辛酉는 겁재가 날뛰니 녹을 받지 못했으니 이 사주는 아깝게도 운이 서북금수(西北金水)로 달렸는데 만약 동남목화(東南木火)운으로 갔다면 자연이 벼슬길이 빛났을 것이다.- 임철초 -

 

 

상관이란

일주의 원신을 훔쳐가는 성분이다.

이미 좋은 성분은 아닌데

일주의 귀한 기운을 손상시키고

다시 동서로 난폭하기 때문이지만

그러나 선악이 영원한 것은 아니니

다만 모름지기 잘 다스리기만 하면

오히려 재능을 발휘하니 총명한 사람이다.

 

이른바 상관이 관을 보면

재앙이 백가지로 발생하다는 말은

다 일주가 쇠약한 상황에서

비겁을 용신삼아 방신하고 있을 경우

관성이 비겁을 손상하므로

재앙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는데

만약 사주에 인성이 있다면

관을 봐도 재앙이 없으며

또한 복이 되는 것이다.

 

辛 戊 丁 辛

酉 午 酉 酉

 

金상관이 중복되어 있는데 반가운 것은 재성 수가 없어서 기상이 깨끗하고 맑은데 초년 목화운에서는 일간이나 용신이 모두 좋아서 용호방에 수석 합격했고 소년으로써 봉황에 도달했다.癸巳壬辰운은 生金剋火하니 평생 절개와 뜻을 누구와 이야기하겠으며 반세기 동안 곤곤하게 살아온 자신을 가련하게 여길 뿐이었다.

 

*격국론에서 말하는 용신(用神)은 월령에 격국(格局)을 말합니다.

팔자에 조화를 주는 희신(喜神)과는 다른 용어(用語*전문분야에서 사용하는말)가 됩니다.

 

 

 

육친의 과다로 보는 직업 판단법 -식신,상관편-

육친의 과다로 보는 직업 판단법(六親旺勢職業適性論) ; 본래 직업을 보는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그 사람의 성격을 판단한다. 2. 학문적인 발달여부를 판단한다. 3. 격과 용신이 명확한 사주인지

kingant1541.tistory.com

 

 

[사주명리 기초] 격국으로 용신찾는방법 (사주직업)

◈ 격국 살펴보는 방법 ​ 이 도표는 자평진전에서 소개하는 정팔격(正八格)을 월령(月令)만 보고 단순하게 격국(格局)을 만든 것이다. 그러므로 천간 투출자가 있다던지 월령이 진술축미(辰戌

kingant154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