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 원진(元辰) 과 귀문관(鬼門關) 정리

원진살 귀문관살

 

미워하는 우리사이 ~ 원진(元辰)

서로 미원하고 원망하니
화애(和愛)하지 못한 관계를 일컫는데
명에 두 글자가 있거나 운에서도 응용한다

자미(子未) 축오(丑午) 인유(寅酉) 묘신(卯申) 진해(辰亥) 사술(巳戌)
이 6가지가 원진인데

일단 띠를 기준으로 하여
쥐띠이면 미가 팔자에 있거나 태세(太歲*그해의 신수)나 대운(大運*10년의 운)에서 올 때 응용한다

대체로 부부관계의 길흉이나 궁합에서 사용하므로
일지와 연결된 경우만을 중시하는데 타주(他住)도 응용이 된다

원진살이 있게되면
부부관계의 불화나 풍파 의처 의부증이 있으며
특히 성생활에서 조화가 안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하며
자신도 모르게 서글픈 마음이 자주 생기는 경향도 있다고 한다

월일지면 부모덕이 없고 같이 못살며 부모형제간에도 만나지 않으며
만약 형충이 중복되면 부모의임종을 지키지 못한다.
일시지면 배우자나 자식과 불화하고 인연도 박하다.

고서에 나오는 원진의 성립근거이다.

자미(子未) 쥐는 양의 뿔이 있는 것을 싫어하고
축오(丑午) 소는 말이 일하지 않는 것을 증오하며
인유(寅酉) 호랑이는 닭부리가 짦은 것을 증오하고
묘신(卯申) 토끼는 원숭이의 불평을 원망하며
진해(辰亥) 용은 돼지얼굴이 검을 것을 혐오하고
사술(巳戌) 뱀은 개가 짓는 소리에 깜짝 놀라 싫어 한다

이렇게 성립의 근거를 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팔자의 격국은 성격(成格)되어서 좋아도
팔자의 원진 백호 괴강등이 즐비 하면 흉신들이 많아
귀를 이루기가 힘이 들수 있습니다.

모든 것을 전부 보아야 진정한 고수가 될수 있으니
여러분들도 외우시기 바랍니다.

고서에 보면 원진(怨嗔)(元辰)
이 2가지가 나오는데 원리와 뜻은 같으니
혼동하시지 마시길 바랍니다.

년지를 기준으로 다른지지에 있을 때 원진이 성립이 되는것이지
월지기준 일시지등은 아주 약하게 해석을 하시기 바랍니다.

이중에서 가장 강한 기운은 축오(丑午)가 되는데
축오는 다른지지에 있어도 일단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 하시기 바라며
일부 명리가(命理家)들은 원진을 궁합볼 때 많이 응용하지만
예를 들어서 남자가 갑자(甲子)일주 여자가 신미(辛未)일주라고
일지끼리 원진이 성립이 된다고 말하는데
이러한 통변은 맞지 않는 통변이니 따르지 마시길 바랍니다.

원진이 팔자내에 있으면
성격이 급하고 화를 내지 않아야 할곳에서도 서슴치 않고 화를 내는등
그 마음 씀씀이가 본인의 의지대로 되지 않는경우가 있으므로
같은 일을 도모하지 못하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므로
이와같이 통변하시는게 맞을 듯 합니다.

년월이 원진이면 초년 삶에 윤택함이 부족하고
년일이 원진이면 결혼생활에 대하여 갈등이 생길수 있으며
년시가 원진이면 자녀와의 관계도 원만하다고 볼수가 없을 것이지만
이 한가지만 보고 판단 하지 말고 다른 통변들도 같이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귀문관(鬼門關)

서로 혐오하고 두려워하는
정신적인 불안감을 의미하게 되는데

子는 酉를 싫어하고 午는 丑을 혐오하고
亥는 辰을 두려워하고 戌은 巳를 두려워하고
寅未와 卯申은 서로 편안하지 않으니
옛 현인들이 귀문관 이라고 이름하였다.

이 내용을 근거하여 정리해보면

子酉 丑午 寅未 卯申 辰亥 巳戌의 여섯가지가 귀문이다.

정신쇠약 정신질환 정신이상등
정신적인 면에서 보통사람과는 다른 변태행위가 발생한다.

신들릴 가능성도 있고
변태성욕 불감증 또는 간질병이나 근친상간의 흉사도 발생한다.

연지를 기준하여 일지에 있을 경우나
일지를 기준하여 나머지 지지에서 보는 경우 등이 있는데

연지 일지면 정신쇠약이나 동성동본 결혼으로 번민하고
연지 시지면 변태성욕자이거나 배우자가 불감증이고
남 재성 여 관성이면 배우자가 변태이거나 정신이상일수 있다.

*귀문관살이 예를들어서

ㅇ 甲 ㅇ ㅇ
ㅇ 子 ㅇ 酉

이렇게 년지를 기준으로 일지 월지 시지에 있을 때 강한것이며

ㅇ 甲 ㅇ ㅇ
酉 子 ㅇ ㅇ

일지를 기준으로 시지 월지에 있는 것은 약하거나
아예 없다고 해석해도 무방 합니다.

그러나 이중에서 가장 강한 귀문관살은

丑午 가 되므로
丑午는 다른 어느 지지에 있더라도 일부 해석을 해줘야 합니다.
공부에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일부 명리학자(命理學者)와 술사(術士)들 중에는
신살(神煞)을 천시(賤視*업신여기는)하는 경향이 있는데
실전 감정할때는 적중률이 높고 실제 경험을 많이 하였으므로
단식 판단법이지만 꼭 알아서 활용해 보도록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