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목(甲木)일주 - 나를 따르라

갑목일주

 

갑목(甲木)


갑목은 위로 쭉쭉 뻗어 나가는 나무로 추진력과 생명력을 상징한다.
일간이 갑목인 사람은 일을 바로바로 해치우는 스타일이다.


물상 : 甲木은 하늘로 치솟으니, 뻗어나서 자라기 위해서는 火가 필요하다. 봄에는 金을 容納(용납)하지 아니하고, 가을에는 土를 꺼리고, 火가 熾熱(치열)하면 辰을 타고 앉아야 하고, 水가 넘쳐도 寅을 걸터 앉으면 땅은 潤澤(윤택)하고 하늘은 和平(화평)하여 千年동안 長久(장구)할 것이다.

 

性情(성정) : 생각은 많이 하나 行動力(행동력)은 弱(약)할 수 있다. 피부 바깥은 거칠고 强(강)하나 속은 여리고 弱하다. 남에게 弱하게 보임을 싫어하고 밖으로 부풀려 보이도록 하려는 性質이다. 自己保護 本能(자기보호 본능)과 自尊感(자존감)이 아주 强(강)하다. 이러한 性情(성정)은 四柱狀況(사주상황)에 따라 또 어떤 地支에 뿌리박고 있느냐에 따라 달라 질 수도 있다.

 

木火通明(목화통명)
갑목과 화의 관계가 진실로 참된 경우를 말하는 것이다. 火의 경우는 주로 문명의 물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지혜와 총명, 개혁에 연관을 갖는 경우가 많다.

 

壤土育木(양토육목)
갑목은 반드시 흙과 밀접한 관계를 맺기 마련이다.
천간에서는 이러한 관계를 甲과 己의 합으로 보는 것이다.
서로 합하는 것은 절친하고 유정한 것이다.

 

有薪有火(유신유화)
갑목과 정화의 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이 둘의 관계가 서로 친근하고 공덕이 있는 것으로서 참된 관계라고 하여,
서로에게 진신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木雨有德 (목우유덕)
한 여름의 갑목은 갈증으로 허덕이게 된다.
더구나 갑목을 기르는 흙이 조열하게 되면
덩달아서 갑목도 성장하기 어려워진다.
이럴 때 소중하게 사용되는 천간이 癸水(계수)이다.
조토인 술월이나 여름에는 계수가 진정한 진신이 되는 경우가 많기에
목우유덕이라고 부른다.

 

雙木爲林(쌍목위림)
갑목과 병화는 비록 지지에 根이 부족하더라도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갑목이 일간인 사주 주인공의 시천간이 동일한 갑목이거나 갑이 월천간에 해당하는 경우를 쌍목위림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비록 신약한 사주이더라도 쉽게 신약의 단점이 드러나지 않으며,경쟁에 매우 강한 사주가 된다.

 

 

甲木參天(갑목참천) 脫胎要火(탈태요화)

春不容金(춘불용금) 秋不容土(추불용토)

火熾乘龍(화치승룡) 水蕩騎虎(수탕기호)

地潤天和(지윤천화) 植立千古(식립천고)

 

갑목은 하늘을 찌를듯이 높이 선 나무인데, 발전하는데에는 화가 필요합니다.

여기서 나무라는 것은 木의 기운을 표현한 것입니다.

나무의 기운은

 

첫째 하늘로 올라가는 성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둘째 생명체이기에 성장과 발육을 동시에 합니다. 그렇게 성장과 발육을 통해서 큰 나무가 되면 火를 생하는 생동현상을 보여줍니다.

 

木은 火를 보아야 발전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火를 만나면 목화통명으로 자신의 틀을 깨고 크게 발달합니다.

火는 목의 자식으로 왕한 나무의 기운이 火를 만나면 더욱 무성하게 됩니다.

 

봄에 태어나면 木이 왕한 시절이라서 金을 용납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목견금결(木堅金缺)입니다. 목이 강건하면 금이 이지러지는 것입니다.

이것이 춘불용금입니다.

 

가을에 태어나면 木이 자신의 시기를 잃어버려서 쇠약합니다.

그러나 비록 가을에 나뭇잎이 시들어 떨어지고 점차 드물어진다고 할지라도, 근기(根氣)가 도리어 수렴하여 아래까지 도달하니 剋을 받는 것은 土가 됩니다.

 

가을의 土는 금을 생하여 설기되니 가장 허박하게 됩니다.

이름하여 아기를 낳은 어머니의 자궁과 같은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허약한 토가 아래에서 공격하는 목을 만나면 木을 기르는 뿌리가 될 수 없고, 반드시 도리어 기울어서 무너지니, 가을에는 土를 용납하지 않습니다.

이것을 추불용토라고 합니다.

 

火가 치열하면 辰土로서 구해야 한다. 辰은 무릇 水의 창고로서 그 土가 습한데, 습토는 능히 나무를 생하고 火를 덜어내니, 소위 火가 왕성하나 龍을 올라탄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갑목이 두려워하는 상황은 水가 범람하는 경우인데, 이러한 상황에서도 갑목을 구제하는 것이 바로 寅木입니다. 이것을 水가 날뛰나 호랑이를 올라타서 괜찮다는 것입니다.

 

 

땅은 촉촉하고 하늘은 온화하니 영겁의 세월동안 굳게 우뚝 서는 것이 갑목입니다.

 

* 적천수의 천간론은 매우 중요한 천간희기론입니다.

위의 내용을 반복해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