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 식신이란? 식신의 특징 (먹을복,나의재주)

식신의 관계

 

식신이란?

 

식 食이란

양(기를 양養)에서 나온 글자로

생명체를 양육시키는 개념(내것을 나누어주다)

신 神이란

물질적 풍요와 함께 감사와 공경의 개념을 내포한다

식신은 물질로는 의식주 생활용품, 천연자원, 자연재로 보고

정신적으로는 인륜에 해당한다

건강을 유지하고, 일상생활이 안정되어 남에게 배풀며 사는 모습이다

물질적 풍요에서 오는 안정감이 정신의 안정에 미치니

인간본연의 물질적 안정을 위하여 연구, 개발, 생산에 주력하는

노력하는 상이다.

지혜知慧로서 극복하고, 대화로서 설득하는 자신감에서 나오는

의지의 상이다.

식신의 배속관계

 

1. 육친의 배속관계

男 ; 조모. 처갓집. 장모.

女 ; 조모. 자식. 조카.

 

2. 사회적 배속관계

 

- 노약자. 노약자 보호자. 어린이 교육자. 어린이. 信徒. 유모. 식모.

임산부. 치료자. 기타의 모든 보호받는 자와 보호자.

 

- 생활필수품. 음식물. 가정의 내부 공간. 의약품. 영양식품.

 

- 유방. 자궁. 생식기. 목구멍. 식도. 영양계통. 항문

 

식신의 특성

 

食神의 특성을 통변通辯용어로 정리하면

- 친화력. 긍정적 대화능력. 이성교제시의 친화. 색정. 종교심. 宣行. 우유부단. 의식주의 안정 추구. 베푸는 만족감. 풍요. 마음을 전하는 대화욕구. 무사안일주의. 긍정적 사고방식. 명랑 쾌활. 보호본능. 험한 일만 안 벌이면 된다는 현실유지를 위한 정신상태.

 

- 연구심. 생산력. 발명. 아이디어. 설득이 필요한 상담. 실내 인테리어. 자급자족.

개발업.

 

- 꼼꼼한 경제 스타일. 봉급. 양육비. 생활비. 자녀학비. 주택구입비.

공공요금과 공과금. 법적인 세금.

 

식신의 간명과 용도

食神은 신왕身旺(근왕)과 편재偏財로부터 成神된다.

 

1. 신왕

 

- 食神은 身旺(근왕)하여야 스스로 사회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신왕 중 근왕이 먼저다)

 

- 비겁比劫으로 身旺하면 남에게 의탁하여 참여한다.

쟁재爭財의 우려가 보인다.

만약 爭財하면 기득권을 갖지 못한다(근약 비겁왕)

 

- 印星으로 身旺하면 자신을 개발시켜 특기를 만들거나

부모의 혜택을 입고 참여한다.

도식倒食의 우려가 보인다.(편인이 식신을 상극)

만약 倒食하면 배움을 쓰지 못한다(근약 인성왕)

 

2. 편재

 

- 편인의 도식으로부터 食神을 수호하여 풍요를 보장시켜준다.

食神이 財로 순환하니 이익과 자신의 영역을 구축한다

(식신생재)

 

식신의 용도

 

1. 제制

 

- 편관偏官을 制하여 공명정대한 형벌刑罰의 권한을 갖는다.

일간과 비견을 구하니 근왕 식신이면

기득권을 평생 유지할수 있다

(편관격)

 

2. 생生

 

- 편재를 生하니 사회참여로서 비롯된 이익을 보고,

스스로의 영역을 구축 한다

편인의 도식 작용에서

식신을 보호하니 풍요가 보장된다(식신격)

반응형

식신이 다른 육신과 배합되어 변화된 용도

 

1. 정관 (일간이 양간이면 식정관합이 됨)

 

- 합법적 결합으로 서로 공존관계를 유지한다.

서로 적합한 관계이니 부적절하면 일시에 소멸된다

(납품, 입찰, 부부동업, 협력회사 등)

 

2. 정인 (일간이 음간이면 정인식신합이 됨)

 

- 食神의 성실한 준비성에 학습이나 부모의 유산을 더한 것이다.

기능에 지식을 더한 것이니 전문인이 틀림없다.

자신을 더욱 절제시켜 주경야독하니 발전을 거듭한다.

스스로 계발하고 스스로 활용하다(인아식)

 

3. 상관

 

- 상관은 상관견관 하니 식정관의

사회와 가정의 공존관계가 무너진다.

지나친 체력소모, 과도한 경쟁 등으로 인한

신체적 결함이 발생한다.

 

4. 비겁

 

– 비겁이 지나치면 식신을 보호하는 재성을 극해하여

분주하나 결과가 없을 수 있다

 

5. 정재

 

- 화상생,

식신편재가 순식이라면 음양이 다른 상생식이다

식신으로 준비하여 정재로 펴니

식신과 편재의 순식과 다른점은 진로가 바뀐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