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 육신관계로 보는 사고수 (설기)

사주팔자 사고수 보는법
사주팔자 사고수 보는법

육신으로 보는 사고수

(안전사고, 교통사고, 자연재해 등)

 

1. 자기실수 가 반드시 있다 (평소 습관)

① 일간설기 - “자기가 자기말을 안듣는다.

식상이 일간을 설기함으로 인한 육체적 자기실수 발생

(일간 무근, 식식과 상관이 과다, 인성의 생조가 부족 하면 ...)

 

예) 과로로 인한 졸음운전, 건강을 해치면서 몰두하는 잡기들

(수면 부족, 악습, 중독증)

 

 

② 인성과다- “남의 말을 안 듣는다”

인성 과다면 정신적 헤이함 으로 관리의식 부족에 의한 실수 발생

(관성이 재성의 생조를 받지 못하고 일간이 인성왕, 근왕 하면...)

 

예) 주마간산식 일처리, 지나친 교만, 매뉴얼 무시

 

2. 관살이 운에서 온다.

(외적 환경의 요구사항, 외부충격, 위험환경 조성)

 

※이렇게 두 개의 -사고가 일어나는- 조건이 마련되면 ...

아래의 3가지 유형의 사고가 일어나기 쉽다

 

1.극설교가 (일간설기 + 관살의 충격)

평소 충분한 준비나 충전 없이

육체적 피로와 체력의 한계로 면역력, 조절력 약화, 무방비상태...

관살운에 외부충격에 자신이 보호되지 못한 상태에서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일어난다

 

 

예)졸음운전과 관계된 교통사고,

음주 와 약물에 의존하여 일을 하다...

위험지역에서 보호장구 없이 작업하다가 사고,

아픈몸을 돌보지 않고 과로에 의한 사고 등 ....

 

 

이것은 하지 말아야 되는 것을 한 것으로 일어나는 사고 이다

반응형

2. 인다관설 (인성과다 + 관살, 재생관×)

정신적 소홀이 만드는 실수가 의무와 책임을 망가뜨리는 것이다

 

예) 부실공사로 인한 피해, 위험물 관리 등 소홀 의 문제,

규정을 무시함으로 생기는 피해 등

 

이것은 해야 할 것을 하지 않아서 일어나는 사고 이다

 

 

3. 도식과 상진 (인다 + 일간설기)

정신과 육체가 둘 다의 문제,

태만하고 무의식적인 상태에서 일어나는 사고 이다

 

인성이 왕강하여 식상을 상극하면

도식(식신상극), 상진(상관상진)이 일어나

관살에 대한 대항력(식신제살, 상관견관) 이 없어지니

관살이 살아나며 이는 사고 로 이어진다

 

메뉴얼과 실재 행동이 다름으로 인한 것이 많다

 

 

예) 정해진 길로 가지 않고 지름길로 가다가 일어나는 각종 조난 사고,

항로수정 등으로 궤도 이탈 사고 등

 

4. 쉽게 자기 사주에서 "사고수" 보는 방법

 

먼저

본인의 사주가 일간 설기 형인지,

인성 과다 형인지를 나눈다

애매한 경우가 있지만 대분류로 둘 중 하나이다

 

 

일간 근왕하고 인성이 있으면 인성 과다형이다

일간의 근이 없고 식상이 하나라도 있으면 일간설기 형이다

 

일간 설기형은

평소 하지 말아야 할 일을 하는 습관

특히 자신의 몸을 망가뜨리는 일들을 주의하여야 한다

잠 안자고...

(음주가무, 오락, 게임, 약물 등)

 

 

인성과다 형은

평소 해야 할 일을 미루거나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

잘 안다고 하여 대충대충하는 버릇을 고쳐야 한다

남의 말을 경청하고 자신을 돌아보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