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 인아식 , 인비식 , 인겁상이 뭔가요? 특징

인아식, 인비식, 인겁상 특징 뜻
인아식, 인비식, 인겁상 특징 뜻

 

인아식 (정인, 편인 + 일간 + 식신, 상관)

 

인아식은

인성격이 관인상생이나 살인상생을 얻지 못하고,

식상격이 식신생재나 상관생재를 얻지 못한 경우에

근왕한 일간이 인성의 지적 능력과

식상의 현장능력을 독립적으로 발휘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조직활동 보다는 개인적 특기를 자유롭게 활용하는

프리랜서 스타일을 의미한다

 

인성격에서 인아식을 이루면

지식체계를 기반으로 현장활동을 통하여

독립된 사회생활을 하는 것을 말한다

 

식상격이 인아식을 이루면

사회적 필요성에 따라

현장활동에 용이한 지적능력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정인격 + 근왕일간 + 상관 (정관×)

= 지식능력을 활용한 사회생활

 

 편인격 + 근왕일간 + 식신 (편관×)

= 전략과 기획능력을 활용한 사회생활

 

 상관격 + 근왕일간 + 정인 (정재×)

=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예체능 활동

 

 식신격 + 근왕일간 + 편인 (편재×)

= 사회적응을 위한 연구와 기획 활동

 

①②번의 경우는 정관과 편관이 없어

관인상생을 이루지 못함으로 자기가 배운 것을

조직에서 임무수행하기 어렵다

이에 스스로 지적재산권을 만들어서 벌이활동으로 활용한다

즉 프리랜서 등의 영역에 속한다

 

③④번의 경우는 정재와 편재가 없어 식신생재와 상관생재를 이루지 못함이니

생산환경 유통환경에서 장기근속하기 어렵다

이에 스스로 개인의 능력을 특기화하여

조직의 생리보다 특기나 실력으로 살아가니

한분야에 장인(匠人)이나 전문가에 이르게 된다

반응형

인비식 (식신격, 편인격) 편인 + 식신 + 비견

- 경험적 능력과 적응력으로 더 나은 부가가치 창출

 

편인의 창의력, 아이디어를 기반으로한 연구와 기획력

식신의 생산력을 갖춘 현장활용능력

비견의 경험력과 검증력 (시간의 경과에 따른 노련함을 겸비)

 

근약 식신격의 인비식

- 타인의 기술능력과 인력의 차용을 통한 가치

 

근왕 식신격의 인비식

- 자신의 기술능력에 대한 검증과 경험을 통한 가치

 

근약 편인격의 인비식

- 타인의 지적능력이나 상표차용을 통한 가치

 

근왕 편인격의 인비식

- 자신의 지적능력에 대한 검증과 경험을 통한 가치

 

인겁상 (정인격, 상관격) 정인 + 상관 + 겁재

- 치열한 경쟁과 실패의 경험을 통한 더 나은 부가가치의 창출

 

정인의 지식력, 정보력

상관의 현장응용능력

겁재의 투자 및 공동관계적 경쟁력

 

근왕상관격 인겁상

- 현장경쟁력에 대한 검증과 경험을 통한 경쟁력

 

근약상관격 인겁상

- 타인의 현장능력이나 인력차용을 통한 경쟁력

 

근왕정인격 인겁상

- 지식능력에 대한 검증과 경험을 통한 경쟁력

 

근약정인격 인겁상

- 타인의 지식능력과 상표차용을 통한 경쟁력

 

 인비식, 인겁상 으로 갈 때 인성이 없으면

실력을 쌓지 않은 것이니

남의 능력을 차용하거나 브랜드를 차용하여야 한다

 

※인비식, 인겁상은 인성격과 식상격에서

재성과 관성을 보지 못해 상생식이 성립되지 않을때

스스로의 길을 선택하여 고난과 역경, 실패와 성공이 교차하는

자수성가의 명이 되며 불세출의 명인이 되기도 한다

 

 인비식, 인겁상은 관살을 제화하여 비겁을 구해야 한다

이것은 독보적인 브랜드가치가 되는 것이다

(인간문화재, 하늘의 별따기와 같다)

보충설명하면

인비식, 인겁상은

나라와 조직이(관살) 생존의 책임을 지지않기 때문에

스스로 자기생존을 책임져야 한다

그러므로 인비식, 인겁상의 관살 제화는

국가와 조직이 개인의 최고 가치를 인정해주는 수준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