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 기초] 지장간(支藏干)이란 무엇인가 ?

지장간(支藏干)이란 무엇인가

지지 속의 천간(인원人元, 지장간支藏干)을 말한다.
지지 속에 천간이 저장되어 있다. : 지지 속에는 천간의 기운이 저장되어 있거
나 감추어져 숨어있는데, 그것을 지장간(支藏干)이라고 한다. 그 지장간이 천간
에 나온 것을 지지 속의 인원(人元)이 투출(透出) 또는 투간(透干)했다고 한다.

월령용사(月令用事: 月律分野지장간)

각각의 월이 시작된 절입일부터 시작해서 그 달이 끝날 때까지, 가장 왕성하고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천간이 날짜에 따라 바뀌게 되는데, 이것을 월령용사라고
한다.
일 년은 12개월이고 각각의 월은 날짜의 경과에 따라 몇 개 천간의 지배를 받는다.

* 지장간과 월령용사를 같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비슷은 하지만 약간 틀려요.
우리가 대부분 알고 있는 것은 월령용사인데요, 월령용사를 알고 계시면 될듯 합니다.
각 파마다 틀려서.. 제가 알고 있는 것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각 이론들마다, 임하는 날짜도 틀리고, 임하는 지지가 틀릴 경우가 있습니다. )

*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월령용사(지장간이라고 할께요.)
① 寅月: 戊7일, 丙7일, 甲16일
② 卯月: 甲10일, 乙이 20일
③ 辰月: 乙9일, 癸3일, 戊18일
④ 巳月: 戊7일, 庚7일, 丙16일.
⑤ 午月: 丙10일, 己10일, 丁10일
⑥ 未月: 丁9일, 乙3일, 己18일
⑦ 申月: 戊7일, 壬7일, 庚16일
⑧ 酉月: 庚10일, 辛20일
⑨ 戌月: 辛9일, 丁3일, 戊18일
⑩ 亥月: 戊7일, 甲7일, 壬16일
⑪ 子月: 壬10일 , 癸20일
⑫ 丑月: 癸9일, 辛3일, 己18일

날짜는 뭐지? 하는 분들이 계실텐데요, 명리학은 음력 1월1일부터 시작되는것이 아니라, 입춘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절기지요~

寅月의 예를 들어 보면,
입춘부터 寅월이 시작이므로 입춘 날부터 계산하기 시작하여 7일 동안은 戊가 주관(사령)
하고,
戊가 사령하는 기갂이 끝나는 시간부터 헤아려 가기 시작하여 7일 동안은 丙이 사령하고,
丙이 사령하는 시간이 끝날 때부터 시작해서 16일 동안은 甲이 사령한다. 이와 같은 요령
으로 나머지 月도 분석하면 된다.

寅의 지장간 중에서 戊는 여기, 丙은 중기, 甲은 정기가 된다.
卯의 지장간 에서 甲은 여기, 乙은 정기가 되고, 중기는 따로 없으며, 정기가 중
기가 사령하는 기간 동안의 기운까지 점령하게 된다.
辰의 지장간 중에서 乙은 여기, 癸는 중기, 戊는 정기가 된다.
여기는 남을여 기운기, 남은 기운이라는 뜻인데, 지난달의 정기가 이번달로 이
월된 기운이다. 지난달의 오행이 이번달의 오행으로 이월되면서 음양이 바뀌는
수가 맋다. 예를 들면, 寅월의 정기 甲이 卯월의 여기로 넘어올 때 乙이 되는 것
이다.
중기는 중간의 기운이고, 辰戌丑未월의 중기는 묘고(墓庫)가 된다.
정기는 월지의 기운을 대표하는 기운이다.

월령용사의 활용에서 주의할 점:
월령용사는 오행의 강약 판단에 사용한다. 월영용사하는 천간을 사령(司令), 또는 사
령지신(司令之神)이라 하여, 아주 큰 역량을 지녔다고 본다. 심지어 일본의 <아부태산
전집>에서는 사령으로 격(格)을 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사령을 강조하면 오
류에 빠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사주가 있다고 하면,
시 일 월 년
甲甲甲戊
子寅寅寅
---------------
壬戊戊戊=> 여기
癸丙丙丙=> 중기
癸甲甲甲=> 정기(본기)
만약 입춘 후 3일 후에 출생한 사람이라면, 여기 戊가 사령하게 된다. 戊가 강력
하여 격을 잡으면 편재격이 되게 된다. 나머지 사주 지지에서도 여기만 취하고
중기와 정기를 버리게 되면 신약 사주가 된다. 하지맊 이 사주를 신약으로 볼 수
는 없다. 그러므로 월령용사를 너무 과장하면 오류에 빠질 수 있다.

지장간과 월령용사의 차이점

지지를 보면, 지장간과 월령용사는 같거나 유사하다. 그러다 보니, 지장간과 월령용
사를 혼동하는 경우가 맋다.
지장간은 지지 속에 천간이 들어있는 것이고, 월령용사는 월령에 따라서 사령하는
천간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 지장간과 월령용사의 비교

子: 계 / 임 계
丑: 계 신 기 / (동일)
寅: 무 병 갑 / (동일)
卯: 을 / 갑 을
辰: 을 계 무 / (동일)
巳: 무 경 병 / (동일)
午: 기 정 / 병 기 정
未: 정 을 기 / (동일)
申: 무 임 경 / (동일): 일본에서는 기무임경으로 보기도 함.
酉: 신 / 경 신
戌: 신 정 무 / (동일)
亥: 갑 임 / (동일): 일설에는 지난달에서 넘어온 여기 戊를 넣어서 무갑임으로
보기도 함.


=================================================================================

그럼 여기서 쉽게 외우는 법을 한번 볼까요? ^-^ (우리는 월령용사를 알고 있으면 될거 같아요~)

子: 壬10일 , 癸20일 (자야, 선생님(임) 계시냐?)
丑: 癸9일, 辛3일, 己18일 (축선생님도 계신디(기)요?)
寅: 戊7일, 丙7일, 甲16일 (인간은 무병장수한다고 꼴갑을 떤다) -인간은 무병갑으로 외웠어요.ㅎㅎ
卯: 甲10일, 乙이 20일 (묘한건.. 갑돌이가 을지로에서 왜 죽었지?)
辰: 乙9일, 癸3일, 戊18일 (진한 국물을 내려면 계란과 무가 있어야지!)
巳: 戊7일, 庚7일, 丙16일. (사무라이가 경찰에 맞고 병원에 실려갔다)
午: 丙10일, 己10일, 丁10일 (오마담이 병난건 기정 사실이다)
未: 丁9일, 乙3일, 己18일 (미운 정을 기대하지마)
申: 戊7일, 壬7일, 庚16일 (신통하게 무임승차하면 경찰에 잡혀가더라?)
酉: 庚10일, 辛20일 (유리하게 경신하고 있자)
戌: 辛9일, 丁3일, 戊18일 (술은 신정에 무지하게 마신다)
亥: 戊7일, 甲7일, 壬16일 (해저무는 갑판위에 임그리워 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