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기초] 한난조습(寒暖燥濕)

한난조습(寒暖燥濕)

한난조습(寒暖燥濕)

 

 

명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중의 하나가 조후를 결정하는 한난조습입니다.

한난조습의 의미는 춥고, 따뜻하고, 마르고, 습하다는 이치입니다.

이러한 한난조습의 이치를 좀 더 깊이 들어가면

천간과 지지로 구분하여 말할 수 있습니다.

 

干支를 한난조습으로 구분하면

干은 한난을 보고 支는 조습을 보는 것입니다.

물론 천간에서 조습을 안보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이 따뜻하고 추운것을 중점적으로 본다는 의미입니다.

 

춘하추동으로 한난조습을 구분하면

봄은 습하여 만물을 기를 준비를 하게 되고, 여름은 난하여 만물을 성장시키고, 가을은 조하여 서서히 수확을 거두기 시작하며 겨울은 한하여 휴식을 취하게 하는 것입니다..

 

여름과 겨울은 한난으로 온도와 시간을 살피고,

봄과 가을은 조습으로 습도와 공간을 살피는 것입니다.

 

이를 12지지로 표현하면

인묘진은 습하고, 사오미는 난하며, 신유술은 조하고, 해자축은 한하죠.

이는 계절적 의미의 한난조습입니다.

 

계절의 중심으로 한난조습을 구분하면

동지부터 춘분까지 한에서 습이 발생되고,

추분부터 하지까지 습에서 난이 발생되고,

하지에서 추분까지 난에서 조가 발생되고,

추분에서 동지까지 조에서 한이 발생되는 순환적인 의미가 됩니다.

자 이러한 개념을 12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겠습니다.

 

반응형

 

12지지로 한난조습을 구분하면

 

1)자수는 한에서 냉으로 간다. (일양오음)

일양이 생성되는 시기로 음은 내부의 핵에는 열기가 생성되고 겉은 냉한 것이다.

동지를 기준으로 이전은 일양의 핵이 만들어진다면 이후에는 핵이 분열되는 것이다.

 

2)축토는 냉에서 냉으로 간다. (이양사음)

이양이 생성되는 시기로 내부의 열기가 점차 표피로 뻗어가나 외부는 냉하다.

 

3)인목은 한에서 습으로 간다. (삼양삼음)

삼양이 생성되는 시기이다. 표면적으로는 일양이 시작되는 시기라고 해도 된다.

내부의 양이 표면에서 외부로 뻗어가기 시작한다. 내부는 서서히 음기가 채워진다.

 

4)묘묙은 습이다. (사양이음)

사양이 활동하는 시기이다. 표면적으로는 이양이 시작되는 시기이다.

표면에 양기가 떨어져 외부로 뻗어가기 시작한다. 내부는 조한 기운이다.

 

5)진토는 습이 난으로 간다. (오양일음)

오양이 활동하는 시기이다. 표면적으로는 삼양이 시작되는 시기로 봐도 된다.

양기가 겉을 휘감고 있는 것과 다르지 않다.

 

6)사화는 난이다. (육양무음)

육양이 활동하는 시기이다. 표면적으로는 사양이 시작되는 시기이다.

양기가 기승을 부리는 시기이다. 모든 것이 발생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래서 겉은 화려하고 안은 초라하다. 참 속알머리도 없는 것도 같다.

 

7)오화는 난에서 열로 간다. (일음오양)

일음이 생성되는 시기다. 겉은 열하나 속은 음기의 핵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하지를 기준으로 이전까지는 양이 무성하나 이후에는 음핵이 만들어진다.

오화는 그래서 겉은 웃고 있고 속은 울고 있으니 오화만큼 냉정한 것도 없다.

 

8)미토는 열에서 조로 간다. (이음사양)

이음이 생성되는 시기다. 겉은 열조한 현상이나 속은 음기가 서서히 퍼지는 시기다.

 

9)신금은 열에서 조로 간다. (삼음삼양)

삼음이 생성되는 시기다. 표면적으로 서서히 이슬이 맺히기 시작한다.

속은 차고 겉은 뜨거우니 마치 유리잔에 찬물을 부으면 유리잔에 성애가 끼는 듯 하다.

 

10)유금은 조하다. (사음이양)

사음이 생성되는 시기다. 모든 것이 마르고 분리되는 시기이다.

추분을 기준으로 이전에는 내부에 습이 머물러 전체적인 모양과 형체가 흐트러지지 않치만

이후에는 최소한의 형체를 유지하며 흐트러지고 부서지는 시기이다.

 

11)술토는 조에서 한으로 간다. (오음일양)

오음이 생성되는 시기다. 겉은 음기가 무성하고 속은 양기를 머금으며 보온과 저장을 한다.

 

12)해수는 한하다. (육음무양)

육음이 생성되는 시기다. 겉과 속이 사음이 생성되는 시기로 봐도 된다.

 

음극양생(陰極陽生)이고 양극음생으로 천지간에 음양이 서로 진행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해수와 자수의 사이에서 체용분리가 일어나게 되고,

사화와 오화 사이에서 체용분리가 일어납니다.

이것은 이 기간에 음에서 양으로

양에서 음으로 변해간다는 것입니다.

 

이를 12地支로 순환적인 관점에서 늘었다 줄었다하는 것을 표현한 것입니다.

 

子午가 한난의 기준이라면 음양적 관점으로 天地 자연의 조화이고,

寅申이 조습의 기준이라면 오행적 관점으로 사람의 생로병사와 흡사합니다.

 

이처럼 명리학은 기상학이며, 氣를 탐구하여야 보다 정확한 학습이 가능합니다.

 

 

1. 寒 : 천간 - 庚, 辛, 壬, 癸 : 추위에 떨다. 어렵다. 가난과 외로움

 

2. 暖 : 천간 - 甲, 乙, 丙, 丁 : 따뜻함. 배려/열정.

 

3. 燥 : 지지 - 巳, 午, 未, 戌 : 마르다, 초조/애태움, 빡빡함, 고지식, 경직.

 

4. 濕 : 지지 - 亥, 子, 丑 : 젖다, 축축함, 비하, 인간관계 많음, 참여의식.

 

 

5. 어느정도면 한습하고, 어느정도면 난조한 사주인지?

 

< 자신의 조후 알아보기 >

 

(천간)     +7   +5   +3   +1   +1             -1   -1   -3   -5   -7

              丙   丁   甲    乙   戊              己    庚    辛   壬    癸

 

(지지)      +7   +5   +4   +3   +2   +1      -1   -2   -3   -4   -5   -7

               午   巳    未   戌   寅    卯      酉    申   辰    丑   亥   子

 

6.  저의 경우에는 -4 ~ +4사이라면 조후가 무난한것으로 봅니다.

    -5 ~ -8, +5 ~+ 8이상이면 경계경보 발령수준입니다.

    -10이하, +10이상이면  조후가 심각한 수준으로 보게됩니다.

    지지와 천간은 따로 보며, 각각 나온슷자를 더해보면 됩니다.

 

* 사주를 놓고 숫자를 대입해보아서 나오는 숫자와 본인이 피부로 느껴지는 조후와 비교를 해보시기바랍니다.

  뭐든지 단식판단은 좋은것이아니니, 조후에있어서 그저 참조정도로만 하셨으면 합니다.

 

 

 

사주 12신살의 의미와 영향 알아보기

수많은 신살류가 있으나 그 모두를 나열 설명하기에는 다소 난삽한 신살편이 될 수 있어 실제 간명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길흉신위주로 나열해 보겠습니다. 단식 판단의 통변에 응용되며

kingant154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