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의 종합적 분석] 정재(正財)의 특징

오늘은 정재에 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정재는 식상과 공동운명체로서 식상이있어야 제기능이 발휘되고, 식상이 없으면 정재의 심리가 밖으로 표출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한, 대표적으로 정재는 일반 서민들이 정당한 방법에의해 노력한만큼의 수확을 얻는(월급, 주급,일당,시간급 등) 보수나 재물을 의미하기도하지요. 그래서 정재는 알뜰살뜰하게 정직하고 성실하게 일하여 한푼두푼 모아가는 서민들의 노력에의한 안정된 재물로 보는것입니다.

 

1. 기본 심리

 

* 알뜰하고 꼼꼼한 면모를 지니므로, 현실적인 수치에 민감해서 경제관념이 탁월하다. 대충적당히 넘어가는 계산법은 용납이 안되

   고, 정확한 수치에의한 결과가 아니면 정재는 만족하기 어렵다. 상관이 보면 쪼잔(옹졸)해 보일수있다.

* 육체적 성분이 강한데, 생명력이 넘쳐서 식욕이나 성욕이 강하고, 육체적 쾌락에 민감하다. 몸에 좋은 음식을 맛있게 먹는것이 행복하다고 여기며, 남녀간 사랑에 정신적운운하면 믿기어렵고, 성욕에서 느끼는 신경계의 긴장을 즐기는 것으로 볼수있고, 자신의 신체에도 관심이 많아서 자신의 몸의 이상유무를 잘 파악하기도한다. 따라서 자신의 몸을 아껴서 힘든 운동도 잘 감당하고 식도락가로서 맛을 즐기는 성분이다.

* 정재는 재물의 가치를 잘 알므로 낭비와 사치를 싫어하며, 알뜰한 생활이 몸에 베인 사람이 많다. 식사후에도 각자 계산방식을  

  선호하며, 오늘은 누가 밥사는거야하며 분명한것을 좋아한다.

* 정재는 모험적인 것을 즐기지않으며, 안전운행을 선호한다. 투자,투기보다는 저축해서 모아가는 재미를 즐기는 성분이다.

* 정재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크다. 그래서 가능하면 ,술,담배등 해로운것은 먹지도 가까이 하지도 않는다. 건강식품등에는 관심

  이 많고, 규칙적인 몸 단련도 이러한 이유때문이다.

* 정재는 삶의 기준을 물질에 두기때문에, 현실에 민감하여 사회생활에서 성공확율이 높다.

 

2. 긍정적 심리

 

* 계산력이 치밀하며, 꼼꼼하다 , 피같은 돈이라 여기므로 알뜰하고 현실적이다.

* 어찌해야 이윤이 남고, 손해를 안보는지 탁월한 판단을 하며, 냉정하게 계산하는 성분이다.

* 알뜰살뜰 저축하여 한품두푼 모아가는 style이므로 객관적 사실에만 감각이 발달해있다.

 

반응형

 

3. 부정적 심리

 

* 그거해서 뭐하나.. 어차피 안되는걸.. 라고 생각해서 현실성이 결여되고, 인간미가 떨어진다.

* 절제하기 힘든 탐욕에 낭만이 결여된다.

* 소심하고 옹졸한 사람이 될수있다. 사소한것에 목숨거는 시시콜콜style이라 소탐대실의 우려도 있다.

 

4. 정재과다

 

* 무엇을 하든지 마음이 놓이질 않아서 불안증이 심화된다.

* 남을 믿고 의지하는 성분이 부족하여 더 많은 재물을 확보해야한다는 부작용으로 재물을 더욱 탐하는 악순환이 된다.

* 내것에 집착이 강하여 혹여 빼았길까봐 노심초사하게된다.

* 정,편재가 혼재되면 본래 그릇이상으로 욕심을 내어서 되려 다 놓치거나, 기회를 잘 못잡고, 노력에 비해 실속이 적다.

 

5. 무재성

 

* 우유부단하고, 결단력이 없어서 한국축구처럼 골 결정력이 부족하여 마무리를 짓지못한다.

* 노력한 것에 비하여 실속이 없고, 돈 빌려주고 잘 받지 못한다.소탐대실이라서 조금씩 모아서 한입에 탁 털어넣기도한다.

* 재생관이 되지못하여 한직장에 오래 머물지 못할 경우도 있다.

* 어떤일에 있어서도 재미나 즐거움을 크게 느끼기가 어렵다. 낭만이나 멋이 결여된다.

* 정재는 꼬박꼬박 재물을 모으는 재미로 살아가는 성분인데 정재가 없다면, 재물을 모을줄 몰라서 말년에 힘들수있다.

 

6. 생극제화에 있어서 정재의 역할 및 심리구조

 

* 일간+식상+정재의 구조라면 돈을 모으는것이 유일한 희망이고, 돈이 없으면 사람대접 못받는다고 여긴다.

* 곤명에서 일지에 정재가 암장되고 재성의 투출이 없으면, 남편에게 얻어쓴다.

* 일간+정재가 합이면(긍정적일때) 수치(계산)에 관한한 똑 부러지고, 지갑을 좀처럼 열지않으며, 분명한것을 좋아한다.

* 정재가 기신이고, 월지에서 극하는구조이면, 일을 벌여서 고통스러운 결과를 초래한다.

* 식상이 없는사주에서 재성이 많으면, 얼른 부자되고파서 무리하게 사업을 확장하는것에 주의해야한다.

* 정재는 눈에 보이는것에 관심(육감적인것)이 많다.

* 정재는 돈에 관심을 가지면 대단히 치밀하게 파고들어서 알뜰살뜰하게 모아서 큰재산을 만들어가는 유형이다.

* 정재가 상관을 만나면 성공하기 어렵고, 심리적으로 심한 갈등을 겪는다. 상관의 기분파적이고, 이익에 무관한데 정재는 치밀하

  고, 꼼꼼하며, 알뜰한 성분이라 마찰을 빗는다.

* 정재는 목욕가면 몸을 아끼는 성분이라 오래씻고, 편재는 대충씻고 끝낸다.

* 년지에 재성이 있으면 대체적으로 가방끈이 짧다.

 

7. 월간 정재의 표현력

 

* 구체적인 표현을 좋아하며, 지적하는것에 능력을 발휘한다.

* 세밀하고, 정확한 표현을 하게된다.

* 쪼잔하다. 시시콜콜하다, 소탐대실 이라는 평가를 들을수 있다.(부정적)

 

8. 월지 정재의 사회 적응도

 

* 실익에 신경을 많이 쓰는편이라 세상이치가 금전으로 연결된것을 잘 알고있어서, 대인관계도 모든거래를 금전을 기준으로 삼음.

* 자신의 영역에 간섭받는것을 싫어하며, 전문영역을 인정해주지않으면 관두려한다.

* 경제나 경영에 관심을 보이고, 능력에따라 흥미를 보이는분야에 일하는것이 좋은 효과를 본다.

* 신용을 중시하고 정직하며,무엇을해도 근검절약하며 미래개척에 노력을 집중하는 style이다.

 

9. 재성의 운 대입

 

* 운에서 재운(기신)이 들어와 인성(용신)을 극하면 금전적 고생이나 건강상의 문제가 있다. 원국의 재가 기신이면 돈때문에

  stress받을수있다.

* 재운이 들어오면 남들도 하니까하는 마음으로 일을 벌이게되는데, 재성이 용희신이고, 식상이 사주원국에있으면 좋으나. 재성이

  기신이거나, 사주원국에 식상이 없으면 결과는 뻔하다.

* 정재운(기신)이 들어올때 원국에서 일간에게 극받으면 오행의 흐름이 안좋을때(탁함)에는 건강에 유위해야한다.

* 초년운에서( 년월간에 관이 있을때) 재성운(기신)이 들어오면 어려서 일찍 돈을 번다 (공부와는 인연이 멀수있다)

* 초운에 재성이 들어오면 학마재로서 공부와는 인연이 멀다.

정재(正財)

 

① 관살을 생하는 역할이 있다

 

정재가 정관을 생하게 되면 원리원칙이 강하여 보수적 성향이 짙으므로 관료적인 인물이 됩니다. 따라서 대기업, 공무원, 금융권, 국가기관 종사자가 많습니다. 재생살이 되면 일신이 강하지 못하면 살이 곧 귀가 되므로 질환과 우환에 노출이 될 수 있습니다

 

② 식상을 설기하는 역할이 있다

 

식상이 많으면 제살태과가 될 수 있으므로 관살을 보호할 필요가 있게 됩니다. 이 경우에 정재가 있어서 식상을 설기한다면 식상생재 그리고 재생관으로 통관하여 관살을 보호할 수 있어서 유리하게 됩니다. 또한 인수가 무거워 식상을 극하는 팔자라면 재성으로 인수를 억제해주므로 식상이 살아나 재성을 생하는 본래의 역할 을 수행하도록 만들게 됩니다.

 

③ 인성을 극하는 역할이 있다

 

식상을 중요하게 사용하는 팔자라면 인수가 있게 되면 불리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재가 있어서 인수를 억제하주면 식상이 살아나므로 이런 경우에는 정재가 있어서 구제받는 사주가 되기도 합니다

 

④ 정재의 기질

 

정재의 별은 수명(壽命)을 기르고 양육(養育)한다고 하여 양명지원(養命之源)이라고 하였습니다. 또한 사람이 재(財)가 왕하면 관성을 생하므로 반드시 부귀(富貴)하게 된다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사주학에서는 내가 극하는 것을 처(妻)와 재성이라 이름하였는데 이러한 구조상 천간으로 내가 강해야 재성으로써 부(富)를 얻을 수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나는 정신이 굳세고 강하여야만 재성을 향유(享有)할 수가 있습니다. 일간이 유력(有力)하여 힘을 가져야만 발복을 할 수가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재운(財運)을 만나면 재생관(生官)이니 관록을 일으키고 관운(官運)을 만나면 겁재를 눌러주므로 발재(發財)가 일어납니다. 그러나 만약 내가 쇠(衰)하거나 미약(微弱)하면 비록 처(妻)가 가져오는 재물이 풍성해도 눈앞의 재물일 뿐이고 종래는 얻지 못하는 것이죠. 그래서 재다신약(財多身弱)하게 되면 일신이 쇠(衰)한 까닭에 내가 재성을 취하기 어려운 것이므로 돈에 의한 근심이 끄치질 않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을 말하여 “부옥빈인(富屋貧人)”이라 하였는데 겉은 부자집에 거취하지만 가난한 손객(損客)이 된다고 하여 실속이 없다고 본 것입니다. 그러므로 신약재다(身弱財多)하면 형제 즉 비겁이나 양인이 도우면 좋게 됩니다. 재가 왕성하면 비겁이 와도 방해를 받지 않는 것입니다. 반대로 일신이 쇠(衰)한 사람은 운에서 관성이나 재성이 왕한 곳으로 가면 일간의 기가 더욱 손상되어 관성이 일간을 극합니다. 곧 이때에는 관성이 귀(貴)가 아니라 살(殺)이 되는 것입니다. 사주에 원래부터 재성이 없으면 운(運)에서 재성이 들어 와도 실제 없는 것처럼 유명무실하게 됩니다. 정재격은 사람이 성실하고 행동이 근검 절약하지만 오히려 금전에 대해 계산적이고 치밀하여 인색하게 느껴지므로 구두쇠가 될 수도 있습니다. 대체로 재격(財格)은 관성(官星)이 현출하게 드러나 있는 것이 기쁘고 재의 손상이 없어야 좋게 됩니다. 다시 식상(食傷)이 재성(財星)을 생하고 인성(印星)이 일신을 도와 일주가 건왕하면 부귀 모두를 누리게 됩니다. 그러나 다음 아래와 같은 경우는 모두 정재와 관련해서 복(福)이 될 수 없습니다. 첫째가 재다신약(財多身弱)하거나 인성의 조력이 없는 경우입니다. 두 번째가 재성은 작은데 일신이 지나치게 강한 경우입니다 세 번째는 비겁이 있거나 태과불급한 경우입니다 월령이 재국(財局)을 이루는데 일신이 쇠하다면 인성(印星)의 도움이 있어야 부(富)를 이룬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먼저 인수를 보고 나중에 재성을 보는 것은 두렵다고 하였습니다. 먼저 재성을 보고 나중에 인성을 보아야 복을 이룬다고 말하였습니다. 왜냐하면 먼저 인성을 보고 나중에 재성을 보면 이것을 재극인(財剋印)이라 하였는데 먼저는 이루지만 나중에는 욕을 본다고 하는 것입니다

 

 
정재(正財)의 특징
정재
정재는 명예, 번영, 자산 또는 신용을 의미하고 복록과 길상을 나타낸다
책임감, 고정소득, 보수적, 인색, 구두쇠, 절약, 번영, 신용
재는 득시(得時)를 하여 왕하여야 하고 편정(偏正)으로 혼잡되지 않아야 한다
재성은 마(馬)이고 관성은 록(祿)이라고 한다
재왕신쇠(財旺身衰)하면 처(妻)가 남자의 권위(權威)을 쥐어 집안을 일으킨다.
재성이 득위(得位)하면 처(妻)로 인해 치부(致富)하고 일가(一家)를 이룬다.
재성은 가벼우나 일신이 왕하면(財輕身旺) 처를 손상시킨다
재(財)가 가벼운데 분탈(分奪)이 되면 화(禍)가 매우 크다
남자는 처와 재물을 동일하게 본다.
양인(羊刃)과 겁재(劫財)에게 정재가 극파당하면 재물을 향유하지 못한다.
재고(財庫)가 공망(空亡)이 되면 빈창고가 되어 재물이 모이지 않는다.
정재와 묘(墓)가 동주(同住)하면 인색(吝嗇)하여 수전노라는 이름을 듣는다
년간에 정재가 맑게 있으면 조부가 부귀한 사람이다

 

 

사주팔자에 재고(財庫)를 가진 명조는 부유한 사람이 많습니다

재고(財庫)를 가진 명조로 부유한 사람이 많습니다. 그래서 말하길 재고(財庫)는 마땅히 충기(衝起)하거나 합기(合起)하여야 한다고 가르쳤습니다. 가장 중요한 핵심은 격국이 이루어져야 합니

kingant154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