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기초] 십간론(十干論) 甲木(갑목) / 乙木(을목)

십간론(十干論)

 

갑목의 물상 (큰나무)

 

01.甲木

 

◎甲木 체상(體象)

甲木天干作首排 갑목은 천간의 맨 앞머리에 놓이고

原無枝葉與根荄 본래 가지 잎 뿌리도 없는 것이며

欲存天地千年久 천지에 오래도록 존재하고자 한다면

直向沙泥万丈埋 사토(未)나 습토(辰)에 깊이 묻혀야 하고

斲就棟梁金得用 깎아 동량을 이루면 쓰임을 얻으나

化成灰炭火爲災 불에 타게 되면 재가 되는 재앙이 있으며

蠢然塊物無機事 무기물의 덩어리를 움직이는 작용력은 없어도

一任春秋自往來 이를 맡아 춘추를 왕래할 수 있다.

 

 

◎甲木의 특성과 강약

①甲木은 乙木이 도움도 안 되고 필요도 없다.

甲木이 약하여 癸水가 돕는데

옆에 乙木이 있으면 오히려 癸水를 흡수해가는

겁재탈인(劫財奪印)의 작용이 되어 불리하다.

②甲木의 가장 양호한 뿌리는 辰과 未이다.

③甲木은 癸水 인성이 필요하면 己土와 겸하는 것이 좋다.

癸水만의 도움은 차선책이 된다.

④甲木이 강하면 庚金의 극제가 좋고 丁火의 설기는 좋지 않다.

⑤甲木을 봄에 金으로 제압하는 것은 호명이 아니고

가을의 甲木을 土로 나누는 것도 호명이 아니며

겨울의 甲木은 반드시 丙火가 필요하다.

⑥甲木은 壬水가 과다하면 부목(浮木)이 되는데

이때 戊土로 제압하거나 丁火로 합거함이 좋으며

癸水가 과다하면 부목(腐木)이 되는데

이때 戊土로 합거하거나 丙火와 己土의 조절도 양호하다.

⑦甲木은 천간에 丙火요 지지에 적당한 수기(水氣)면 호명이 된다.

◎甲木과 오행의 관계

甲:木 甲은 甲도 乙도 돕지만 乙은 甲을 돕지 못한다.

甲:火 甲이 과습할 때 丙을 보면 강해지지만

조열할 때 丙을 보면 약해지며

甲은 丁을 생하지만 丁은 甲을 설기시킬 뿐이다.

甲:土 甲은 戊己를 극하는데 戊己는 다만 甲에게 봉사만 한다.

甲:金 가을에 수기가 없거나

겨울에 丁을 가진 甲은 庚을 기뻐하며

甲은 辛을 극할 수 있으나 辛은 甲에게 영향력이 없다.

甲:水 甲은 건조해도 壬보다 癸를 더 좋아하고

壬이 많으면 표류하고 癸가 많으면 썩게 된다.

 

 

◎甲木과 십간배합의 희기

甲甲 쌍목위림(雙木爲林) 활동이 왕성하고 경쟁력이 강하다.

甲甲甲 삼목위삼(三木爲森) 교제활동력이 왕성하고 우수한 귀명

甲乙 등라계갑(藤蘿繫甲) 등라계갑이 아니고 격갑(擊甲)인가 한다.

甲乙戊 등라반갑하고(藤蘿絆甲下固)

귀인이 도움이 있고 癸가 또 있으면 학문과 재물로 성공한다.

甲丙 청룡반수(靑龍返首) 양기표출이 좋고 권위가 확연하다.

이 때 癸水 또는 己土가 첩신하면 금상첨화가 되지만

甲+癸+丙의 구성보다 甲+丙+癸의 구성이 양호하다.

甲丁 유신유화(有薪有火) 학문과 예술에 능력이 탁월하다.

甲丁丁 양화위염(兩火爲炎) 속전속결형으로 기선을 제압하여 성공

甲丁戊 유신유화유로(有薪有火有爐)

학업습득이 우수하고 발표능력 또한 탁월하여 성공한다.

甲戊 독산고목(禿山孤木) 재물의 부침이 심하고 불안정적이다.

甲己 양토육목(壤土育木) 물장사나 예능오락계통의 경영이 탁월하다.

甲庚 흔목위재(欣木爲材) 강직하고 지조있으며 직장에 충실하다.

甲辛 목곤쇄편(木棍碎片) 혹 직장을 가져도 고위직은 어렵다.

甲壬 횡당유영(橫塘柳影) 운수업을 경영하면 양호하며 인기가 좋다.

甲癸 수근로수(樹根露水) 대인관계에 있어서 처세가 탁월하다.

木癸己丙 비조부혈(飛鳥趺穴) 이 경우 癸丙은 이격되어야 하며

학술이나 종교 봉사 등과 관련된 이재능력이 탁월하다.

 

*십간론에 대한 사주팔자 실전에서 예시를 들자면

 

ㅇ 甲 乙 辛

ㅇ 午 酉 酉

*예를들어서 이러한 사주 팔자라면

금을 왕성하고 일간 갑목은 통근처도 없어서 신약한데

을목 겁재가 투간하여 신금에게 같이 버텨주니

형제간의 덕이 좋아야 하는데 실제로 내담자에게 물어본다면

큰 덕이 없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 유는 대림목이 난초에게 큰 힘을 받을수 없는 자연적인 현상인것입니다.

 

辛 甲 癸 己

未 寅 酉 巳

 

이러한 사주 팔자라면 정관격에 재관인(財官印)이 투간하고

일간 갑목도 약(弱)하지 않으니 귀격(貴格)이 분명한데

실제로는 항상 직장이 내맘같지 않아 한직(閑職*일이없거나 한가한직종..직장내에서 권위가 높지않은)에 머물게 됩니다.

 

그 이유는 갑목(甲木)은 경금(庚金)으로 제어를 해야 동량(棟樑)이

되어서 사회에 쓰임을 얻어야 하는데 신금(辛金)은 보석금(寶石金)이 되므로 어찌 보석이 대림목을 동량을 만들겠습니까??

 

이 이치를 이해가 된다면

상당한 고수가 되는길이 됩니다.

 

그러므로 십간론(十干論)을 잘 이해해야

사주(四柱)의 고저(高低*높고 낮음)를 알수 있게 됩니다.

 

을목의물상 (연꽃/넝쿨)

 

02.乙木

 

◎乙木 체상(體象)

乙木根荄種得深 을목은 뿌리가 깊고

只宜陽地不宜陰 오직 양지가 옳지 음지는 옳지 않으며

漂浮最多逢水 두려운 것은 水를 많이 만나 떠내려가는 것이고

何當若用金 金으로 깎고 다듬어도 고통을 감당하기 어려우며

南去火炎災不淺 남방 운은 불꽃이 뜨거우니 재앙이 가볍지 않고

西行土重禍尤侵 서방운의 金도 土도 더욱 화(禍)가 침범할 것이며

棟樑不是連根物 동량을 이루는 것은 뿌리가 있는 나무가 아니니

辨別功夫好用心 주의 깊게 분별하여 공부하여야 한다.

 

 

◎乙木의 특성과 강약

①乙木은 양지(陽支) 寅未를 음지(陰支) 卯辰亥보다 더 좋아한다.

②乙木이 강하면 丙을 좋아하며 金의 극은 좋아하지 않는다.

③乙木이 약하면 甲의 도움을 좋아하지 인성의 도움은 차선이며

특히 甲의 도움은 양호하지만 乙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乙木이 강하여 癸가 싫은데 옆에 乙이 있으면

그 乙이 癸를 흡수해가므로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다.

④乙木은 己는 극할 수 있으나 戊는 극하지 못한다.

⑤乙木은 癸의 과습(過濕)함을 두려워하지 壬은 그렇지 않다.

⑥乙木은 대운이 남방이면 火를 꺼리며 서방이면 金을 꺼린다.

◎乙木과 오행의 관계

 

乙:木 乙은 甲에게 도움을 받으나 乙은 돕는 역할이 없다.

乙:火 乙이 과습할 때 丙을 보면 강해지지만

조열할 때 丙을 보면 약해지며

乙은 丁을 생하지만 乙은 약화되어 흉해진다.

乙:土 乙이 재성이 필요할 경우에는 戊己 모두 양호하지만

戊己가 과다하면 재다신약(財多身弱)이 될 수 있다.

乙:金 乙은 庚辛의 극을 꺼리지만 辛의 극은 더욱 꺼린다.

乙:水 乙은 壬癸의 생함을 받지만

壬癸가 과하면 피해를 보게 된다.

 

 

◎乙木과 십간배합의 희기

 

乙甲 등라반갑(藤蘿絆甲) 타인의 조력이나 천거로 발전한다.

乙乙 복음잡초(伏吟雜草) 형제나 주위 동료들의 덕이 부족하다.

乙丙 염양여화(艶陽麗花) 표현력이 탁월하고 재복도 양호하다.

乙丁 화소초원(火燒草原) 표현력이 부족하고 재능을 인정받기 어렵다.

乙戊 선화명병(鮮花名甁) 학문과 수완이 좋아 축재능력이 좋다.

乙己 양토배화(壤土培花) 학예 봉사 유흥계통의 성공가능성이 있다.

乙庚 백호창광(白虎猖狂) 돌발적인 재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乙辛 이전최화(利剪摧花) 직장은 부적하며 자영업이 양호하다.

乙壬 출수부용(出水芙蓉) 용인술이 좋아 대성할 가능성이 있다.

축수도화(逐水桃花) 대인관계가 나쁘고 이성과의 마찰이 있다.

乙癸 청초조로(靑草朝露) 타인의 도움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많다.

 

*을목(乙木)은 화초(花草) 난초(蘭草) 화가(禾稼*벼나 곡식)에

비유되는데 갑목(甲木)과는 그 쓰임이 다르게 됩니다.

 

갑목(甲木)은 동량지재(棟梁之材*한집안의 대들보)가 되어야 하며

을목(乙木)은 꽃을 피워야 하는 것이되므로

 

辛 乙 乙 甲

巳 卯 卯 寅

 

이러한 사주(四柱)하면

을목은 월령을 얻고 겁재 갑목이 투간하고 계수가 도우니 극왕한 사주가 됩니다.

신왕하므로 극설(剋洩)하는 신금(辛金) 편관(偏官)이 희신(喜神)이

되므로 귀(貴)해져야 하지만 난초가 항상 가위에 극을 당하므로

직장을 가지기는 하지만 만족도가 낮고 권위직을 가져도 피곤한 직책만을 가지게 되므로 귀(貴)가 갑목(甲木) 경금(庚金)같은

작용이 아님을 상기 하게 됩니다.

 

甲 乙 丙 己

申 卯 寅 未

 

*이러한 사주(四柱)라면

신왕 하여 병화(丙火) 식신(食神)을 설기하는 작용으로 희신(喜神)으로 사용 하는데 꽃을 피우고 입춘(立春)의 온기(溫氣)를 주고 있으므로 상관생재(傷官生財)의 작용이 아름다워

재물은 넘쳐나고 사회적으로 신분(身分*개인의 사회적 지휘)이

낮지 않게 됩니다.

 

어떤 술사(術士)는 상관이 강하므로 흉(凶)하다고 할것이지만

음간(陰干)은 신왕하면 식상(食傷)의 설기를 더욱 기뻐하므로

부귀(富貴)해지는 조건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