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천수] 사주팔자 경금론(庚金論)

경금의 물상

 

07.庚金

 

◎庚金 체상(體象)

庚金頑鈍性偏剛 경금은 단단하고 무뎌 그 성질이 매우 강하고

火制功成水鄕 火의 제압으로 공을 이루며 특히 癸를 두려워하며

夏産東南遇煆鍊 여름생이 동남 운을 만나면 기물이 되고

秋生西北亦光芒 가을생이 서북 운이면 역시 좋을 것이며

水深反見他相剋 水가 많으면 오히려 다른 이를 극하게 되고

木旺能令我自傷 木이 득령하여 왕성해도 木은 상처를 입으며

戊己干支重遇土 간지에 土가 많은데 土운이 거듭되면

不逢沖破卽埋藏 충을 만나지 않을 경우 매장되어 흉해진다.

 

 

◎庚金의 특성과 강약

①庚金은 丁을 좋아하며 癸를 싫어한다.

②庚金이 여름출생으로 丁을 희용(喜用)하거나

가을출생으로 土金을 희용하면 호명이 된다.

③庚金은 일반적으로 봄철의 木과는 나쁜 관계이다.

④庚金은 土가 많으면 묻히고 水가 많으면 가라앉는다.

⑤庚金은 甲을 무난하게 제압할 수 있다.

⑥庚金이 왕하면 壬으로 설기하거나 丁으로 극제하는 것이 좋고

약하면 戊己를 희용함이 좋지만

다만 지지에 水나 癸가 있으면 더 좋다.

 

 

◎庚金과 오행의 관계

庚:木 庚은 丁을 가지면 甲을 强하게 극하며

庚은 추절무습(秋節無濕)의 甲이나

동절대정(冬節帶丁)의 甲과 좋은 관계지만

봄이나 습한 甲은 庚을 꺼린다.

庚:火 庚이 추동절 출생이면 丙은 조후 역할을 하지만

그 외에는 해롭고 丁은 庚을 조절한다.

庚:土 庚은 비록 戊에게 생조를 받지만

戊가 많으면 庚은 약해지고

己는 庚을 생하거나 설기하는 작용이 있다.

庚:金 庚은 金과 무작용이나

庚이 많으면 강해지고 金이 인접함을 싫어한다.

庚:水 庚은 壬을 약하나마 생하지만 癸는 생하지 못하며

癸는 오히려 庚에게 해를 준다.

 

 

◎庚金과 십간배합의 희기

庚甲 복궁최잔(伏宮摧殘) 재물의 손실 등 내실이 부족하다.

흔목위재(欣木爲材) 희신이면 스스로 조직을 만들어 능력발휘

庚甲丁 벽갑인정(劈甲引丁)

두뇌가 명석하여 박학다식하며 경쟁운세력이 특히 강하다.

庚乙 백호창광(白虎猖狂) 재앙돌발에 유의하라는 암시가 있다.

庚丙 태백입형(太白入熒) 직장이 부적하고 재능불발의 염려가 있다.

庚丁 형형지격(亨亨之格) 직장만족에 행운과 발전이 있다.

화열금용(火熱金熔) 기신이면 재능불발의 흉의가 있다.

庚丁戊 화련진금유로(火煉眞金有爐)

재능을 충분히 발휘하여 성공이나 출세가 가능하다.

庚戊 토다매금(土多埋金) 고군분투에 남의 도움이 해롭게 변한다.

庚己 관부형격(官府刑格) 타인의 도움이 결국은 불리하게 작용한다.

토윤생금(土潤生金) 희신이면 귀인의 조력과 복덕이 있다.

庚庚 양금상살(兩金相殺) 평생 중 한번은 큰 상흔을 얻게 된다.

庚辛 철추쇄옥(鐵鎚碎玉) 극도의 격분은 사고를 부를 수 있다.

庚壬 득수이청(得水而淸) 재능발휘가 쉽고 대성의 가능성이 있다.

수다금침(水多金沈) 기신이면 지나친 참견으로 실패초래

庚癸 보도이로(寶刀已老) 참견이 태심한 칼에 녹이 스는 격이다.

 

*경금(庚金)은 땅속에 묻혀있는 제련되지 않는 철광석이 되므로

정(丁)으로 제련하고 갑(甲)이 나타나서 정화(丁火)를 돕는다면

경금(庚金)이 제련되어 다시 갑목(甲木)을 동량(棟樑)을 만든 것을

상격(上格)으로 논합니다.

 

인묘(寅卯)월 이면 무토(戊土)의 생(生)을 받으면 좋은 작용이며

사오미(巳午未)월 이면 너무 조열하므로 임수(壬水)와 신자진축(申子辰丑)이 나타나야 하며 없다면 기토(己土)가 나타나서 지지에 습토(濕土.丑辰)이 있다면 기쁠것이며 기토(己土)와 임수(壬水)가

섞이는 것을 꺼려 합니다.

 

신(申) 월은 금기운(金氣運)이 강하므로

정화(丁火)로 제련하고 갑목(甲木)이 돕는다면 상격(上格)이고

또는

임수(壬水)가 나타나고 갑목(甲木)이 으로 순환상생이 되어도

상격(上格)이 되고 피부가 맑고 머리는 영리한 수재(殊才)가 되며

 

유(酉)월은 정화(丁火)로 제련하고 병화(丙火)가 온기(溫氣)를 준다면 그 성정(性情)이 강하여 개성이 강하지만

사회적으로는 군,검,경,교육등 사법계열에서 고위직(高位職)이 되며

 

술(戌)월은 갑목(甲木)으로 소토(疏土)하고 임수(壬水)가 도와야 하며

 

해자축(亥子丑)월은 한습(寒習*차고 습함)하므로 병화(丙火)가 있다면 신분(身分)이 낮지 않고 만약 없다면 인오술사미(寅午戌巳未)가 있다면 의식(衣食)은 아쉽지 않으며 이마저도 없다면

스스로 처량하고 성격이 우울하여 발전이 약한 경향이 있게 되는데

남방(南方)의 운을 만난다면 발전이 되고 의식(衣食)이 해결되게 됩니다.

 

 

【原文】庚金帶煞。剛健爲最。得水而淸。得火而銳。土潤則生。土乾則脆。能嬴甲兄。輸于乙妹。

 

경금은 살을 찬 것이니 강건(剛健)하기가 최고이다. 수(水)를 얻게 되면 맑아지고 불을 얻게 되면 예리해진다. 토(土)가 윤택하면 생(生)을 받고 토(土)가 건조하면 물러진다. 형(兄)인 갑(甲)을 능히 이기고 누이인 을(乙)을 보면 업어 버린다.

 

【原注】庚金乃天上之太白。帶殺而剛健。健而得水。則氣流而淸。剛而得火。則氣純而銳。有水之土。能全其生。有火之土。能使其脆。甲木雖强。力足伐之。乙木雖柔。合而反弱。

 

경금(庚金)이란 바로 하늘의 태백(太白)인 것으로 살기(殺氣)를 두르고 강건한 것이다. 강건한 것이 수(水)를 얻게 되면 곧 기(氣)가 흐르게 되므로 맑아지고 강건한 것이 불을 얻게 되면 곧 기가 순수하게 되어 예리해진다. 수(水)가 있는 토(土)는 능히 경금(庚金)을 온전히 생(生)하고 불이 있는 토(土)는 능히 경금(庚金)을 무르게 만든다. 갑목(甲木)이 비록 강하다고 하나 경금(庚金)의 힘은 갑목(甲木)의 뿌리를 벨 수가 있는 것이고 을목(乙木)이 비록 부드럽다고 하나 합하므로 오히려 약해질 수가 있는 것이다.

 

<구문 풀이>

 

▶ 경금은 살을 찬 것이니 강건(剛健)하기가 최고이다.

 

경금(庚金)은 가을철의 매서운 숙살지기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천간 중에서 강건하기가 으뜸인데 그래서 하늘의 태백성(太白星)에 비유하는 것입니다.

 

▶ 수(水)를 얻게 되면 맑아지고 불을 얻게 되면 예리해진다.

 

임수(壬水)를 보면 경금(庚金)의 살성(殺性)이 씻기고 설기되어 수정처럼 맑아지므로 득수이청(得水而淸)이라 하였는데 이것은 불투명한 기암괴석이 비온 뒤에 씻겨 더욱 맑아져 뚜렷한 경치를 보이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정화(丁火)는 완금장철(頑金丈鐵)인 경금(庚金)을 단련하여 검과 창을 만들어 내는데 그렇기 때문에 경금이 불을 얻게 되면 예리해진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 토(土)가 윤택하면 생(生)을 받고 토(土)가 건조하면 물러진다.

 

경금(庚金)이 만일 봄이나 여름에 출생하였다면 그 기(氣)가 쇠약하기 때문에 축(丑)이나 진토(辰土)와 같은 습토(濕土)를 만나야만 생기발랄할 수가 있는 것이니 그래서 토윤즉생(土潤則生)이 되는 것이고 술(戌)이나 미토(未土)와 같은 조토(燥土)를 만나게 되면 약하여 물러지는데 그러므로 토건즉취(土乾則脆)가 되는 것입니다.

 

▶ 형(兄)인 갑(甲)을 능히 이기고 누이인 을(乙)을 보면 업어 버린다.

 

원래 경금(庚金)은 갑목(甲木)을 마음대로 다룰 수 있는 존재가 되므로 갑목(甲木)은 경금(庚金)을 두려워합니다 그러나 갑목(甲木)에게는 을목(乙木)이 누이가 되는 것이니 그 누이동생을 경금(庚金)에게 시집을 보내게 되면 갑목(甲木)은 경금(庚金)의 처남으로 경금(庚金)이 갑목(甲木)을 마음대로 다룰 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탐합망극(貪合忘剋)이라고 하는데 “합을 바라는 마음으로 극하는 것을 잊는다”는 뜻으로 사용이 되는 것입니다. 수어을매(輸於乙妹)라는 말 속에는 ’을목(乙木)을 업다‘라는 뜻 외에 을목(乙木)을 ’아내로 맞아들이다‘는 의미도 표함 되어 있는 것이므로 경금(庚金)이 을목(乙木)을 보게 되면 합하게 되는 것이라 목을 극할려는 성질이 없어지므로 금의 성질이 오히려 약해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