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육신의 상극관계 - 상관패인 과 도식 (1) 상관패인 1.상관의 특징상관은 한가지 방면으로 뛰어난 소질과 현장발휘능력의 탁월함을 갖춘 인물이다 이러한 능력을 자유로운 환경에서 발휘하고 싶어 한다. 2.세상 과 상관정관으로 대표되는 세상은 어느 사회를 막론하고전체의 목적성에 따른 규정과 전통, 관습 등이 있게 마련이다. 상관의 자유로운 행위는기존의 세상에 대하여 불평과 불만, 어긋남이 있게 된다 - 상관견관 현상 3.정인의 역할정인은 정관을 수호하며 기존질서 체계를 발전시키는 임무수행을 하고 있다(관인상생) 이에 상관을 자제시켜 조직에 어울리는 행위를 하게 함으로서 상관이 정관에 필요한 인물이 되게 만들어 준다. (관인상생→ 상관제화→ 관인상생, 전체목적에 부합되다) 4. 상관패인전체목적에 맞는 운영원..
육신으로 보는 사고수(안전사고, 교통사고, 자연재해 등) 1. 자기실수 가 반드시 있다 (평소 습관)① 일간설기 - “자기가 자기말을 안듣는다.식상이 일간을 설기함으로 인한 육체적 자기실수 발생(일간 무근, 식식과 상관이 과다, 인성의 생조가 부족 하면 ...) 예) 과로로 인한 졸음운전, 건강을 해치면서 몰두하는 잡기들(수면 부족, 악습, 중독증) ② 인성과다- “남의 말을 안 듣는다”인성 과다면 정신적 헤이함 으로 관리의식 부족에 의한 실수 발생(관성이 재성의 생조를 받지 못하고 일간이 인성왕, 근왕 하면...) 예) 주마간산식 일처리, 지나친 교만, 매뉴얼 무시 2. 관살이 운에서 온다.(외적 환경의 요구사항, 외부충격, 위험환경 조성) ※이렇게 두 개의 -사고가 일어나는- 조건이 마련되면 ....
각 일간별 천간조합 : 임수일간 (壬水) 임수일간임수는 물상으로는 잡힐 듯 말 듯 손에 잡히지 않는. 교류, 서비스, 판매, 교환, 거래환경, 소통하다. 임수는 팔아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 임수는 거래를 뜻하니 토(판매망,거래장)+화(재능)을 갖추어야 한다. - 임수가 있지만 토가 없다면 거래망이 없는 것이고 토가 너무 왕하면 폐쇄적으로 참여 의지가 떨어진다.갑임 甲壬 교육, 문화, 교류서비스, 외국어교육, 어학을임 乙壬 객지에 가다. 방문 판매하다. 가상공간이 아니라 실제 공간과 사람이 있다. 병임 丙任 경영관리, 인력, 소개, 중재서비스, 헤드헌터, 여행상품판매현명한 사람. 방법론을 알려준다. 임수는 팔 생각이지만 병화가 있으니 사람들 앞에서 체면이 안선다. 직접판매는 못하고 다른 사람 시킨다..
가람떡집 잔증편(기정떡) 개업떡 답례떡 선물로 딱이네요~ 안녕하세요. 나무늘보입니다. 요즘 코로나 때문에 외출하기도 힘들고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은데요. 그래서 오늘은 아이들 간식으로 좋은 떡을 소개해드리려고 해요! 바로 가람떡집 잔증편인데요. 맛도 좋고 가격도 저렴해서 부담없이 먹을 수 있답니다. 그럼 지금부터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100% 국내산 쌀로 만든 웰빙 떡 잔기지떡가람떡집 잔증편은 100% 국내산 쌀로만 만들어서 맛뿐만 아니라 영양가도 풍부하다고 해요.쌀가루를 막걸리 효모로 자연 발효시키는 전통방식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발효 과정을 거쳐 소화가 잘되는 기정떡보통 술떡이라고 불리는 기정떡은 더운 여름에도 쉽게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
수화는 목적이고 목금은 움직이는 모습이에요. 수화가 생각이고 목금은 실제로 나타나는 현상이자 일이 되고요.수화가 지배하는 세상에 목금이 일을 하는거예요. 병임계정이 무언가 하고자하는 의지라면 갑을경신으로 실현되는거예요. 천간 수화만 있는 사람이 방향을 설정할 것이고 천간 목금인 사람은 주로 실행하는 사람이겠죠.제가 올린 다른 천간 조합처럼천간 계수와 지장간을 조합해서 풀이하면 됩니다. ex. 춘절의 계수는 목에게 수생목하면 되겠죠. 계갑이나 계을 / 하절의 계수는 계정, 계병 참고하시면 됩니다. 계수일간 己癸 (기토+계수/토극수) 윤택한 땅, 나무를 키우기 위한 기본 바탕이 되니 초심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기토 속에 습기를 품을 수 있으니 열기가 뜨거워져도 견뎌낼 수 있다. ( 기토가 없으면 ㅡ..
궁성론 사주간지의 지지를 우리나라 말로는 ‘자리’ 라고 하고 명리에서는 궁(宮)이라 하고 한자로는 좌(坐)라 한다. 명리학에서는 생년월일로 간지를 만들고 생년월일시의 지지에 궁(宮)을 대입한다. 사주 전체를 명조라고 한다면 밑(지지)에 있는 것을 궁(宮)이라 한다. 명리학에서 각 개개인이 하늘의 뜻을 이어받았다는 천인합일(天人合一) 사상이 나왔고 생년월일에 그것이 들어갔다. 하늘을 대신해서 지구상에 있는 만물을 우리가 기르고 가꾼다는 뜻이다. 氣에는 天의 기운과 地의 기운 두 개가 있다. 水火가 天의 기운이고 土가 땅의 기운이다. 이 둘이 합쳐지니 만물이 나온다. 한난한 기운이 땅의 기운으로 내려가서 조습의 기운이 나오고 조습의 기운을 따라서 木과 金이 나온다. 이것이 天地의 기운을 받아서 어떻게 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