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멸자(母慈滅子) 엄마가 너무 자상해서 나는 숨이 막힌다.

모자멸자 : 인성과다

모자멸자(母慈滅子) 엄마가 너무 자상해서 나는 숨이 막힌다.

부(賦)에 나온다.

 

“금은 토의 생에 의지한다. 토가 두터우면 금이 매몰된다.”

“목은 수가 양육하는 것을 따르지만 수가 많으면 목이 표류한다.”

“화가 뜨겁게 타올라 토가 뜨거우면 만물을 기를 수 없다. (己일간이 午를 얻는 경우) “

“강한 금(剛金)은 수를 생할 수 없다. (庚일간이 戌을 얻는 경우)” (역주: 강금은 화에 극을 당해 사금(死金)이 된 경우를 말한다.)

“왕한 토가 왕한 화를 보면 눈병, 종기, 열병을 앓는다.”

“썩은 흙은 금을 생할 수 없다. 뜨거운 금은 수를 생할 수 없다. 사절(死)이 된 수는 목을 생할 수 없다. 이런 경우들은 자세히 살펴야 한다. 일괄적으로 인수로 논하면 안된다.”

“수가 금의 생을 얻고 가을을 만난다. 수청금백(水金白), 즉 수는 맑고 금(달月)은 희게 빛난다. 모양이 빼어나다.”

“수 하나에 금이 세 개면 모습이 완전하다. 체전지상(體全之象)이라고 한다.”

“화가 목의 생을 얻고 봄에 태어난다. 목수화명(木秀火明), 즉 목은 빼어나고 화는 밝게 피어난다. 붉은색 꽃과 푸른 잎이 불꽃처럼 피어난다. 금이 보이면 목이 손상되어 불꽃이 꺼진다.”

“금과 목 두가지 인성은 많아도 모두 길하다고 논한다. 만약 화 인성이 많으면 화가 뜨거워 토가 달아오른다. 수 인성이 많으면 수가 범람해 목이 물에 뜨게 된다. 토가 많으면 금이 파묻힌다. 모두가 좋지 않다.”

반응형

 

坤 癸巳 甲子 甲辰 甲子. 겨울 목은 화가 필요하다. 년지 巳화가 수에 의해 위협당한다. 갑목은 물위를 떠다닌다. 일간이 수고에 앉아있고 양옆에 왕지 子가 서로 끌어당긴다. 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지 못한다. 이리저리 떠도는 모습이다. 신체도 좋지 않다. 물이 많으면 나무가 부식되기 쉽다. 건강이 좋지 않다. 명주는 화류계여성이다.

乾 癸酉 癸亥 甲辰 甲戌. 일주 辰고가 년월의 수를 저장하려 하지만 시지 戌이 뚝을 무너뜨린다. 나무가 물에 뜬다. 명주는 어린시절 병을 앓아 약물의 부작용으로 청각장애인이 되었다.

乾 癸亥 甲寅 丙戌 甲午. 寅午戌 화국으로 일간이 인수의 생을 잘 흡수한다. 년에서 인수를 생해준다. 년월이 동일순으로 합을 한다. 인수가 관성의 기운을 지닌다. 좋은 대학을 나온다. 공무원이다.

乾 乙未 己卯 丁丑 丙午. 일지에서 투간한 己토를 乙목이 극한다. 일간과 인수의 관계가 좋지 않다. 오미합으로 乙목과 丙화의 관계가 좋다. 전체적으로 목수화명(木秀火明)의 상이다. 그러나 빛나는 것은 丙화이지 丁화가 아니다. 丁화는 빛을 잃는다. 일간은 인수의 혜택을 누리지 못한다. 학교도 제대로 다니지 않고 사방을 떠돈다.

坤 壬寅 丙午 己丑 甲子. 년지에서 투간한 관성을 일간이 합한다. 년월 화국의 화기운이 잘 조절된다. 토가 뜨거워지지 않는다. 공무원.

乾 己酉 癸酉 壬子 己酉. 금은 인수가 많으면 좋다. 그러나 금이 깨끗해야 한다. 년월의 酉금이 己토를 지니고 있다. 壬수를 더럽힌다. (己土濁壬). 일지에서 투간한 癸수를 극한다. 금도 깨끗하지 않고 수도 맑지 않다. 己巳대운, 사망.

 

 

 

[사주팔자 격국] 정인격 . 편인격 알아보기

1. 정인격, 편인격의 意義 우선 정인이나 ,편인이나 모두나를 生해주기 때문에 정,편을 구별하지 않고 모두 인수격 (印授格)이라 부른다. 인수격이라 칭하려면 * 우선 월지장간에 일간대비 인수

kingant154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