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 壬水 癸水의 속성

壬水 癸水

-壬水論

1.       壬水가 강하면 타간(他干)에 재앙을 주기 쉽다

2.       壬水는 기토를 매우 두려워한다.  기토탁임

3.       壬水가 가장 경우 병화를 필요로 하며, 丙火는 壬水의 재(財)를 조율한다.

4.       壬水가 강한 경우는 경금이나 신금을 설하게 된다. 또한 강한 임수는 계수를 두려워한다.

5.       壬水는 식상(갑,을목)의 설(泄)이나 丙火, 戊土의 상극을 받아도 약해지는 일은 없다.

6.       壬水의 귀(貴)는 戊土로 조율하며, 己土와의 조합은 항상 최악의 현상을 보게 된다.

 

<秘傳>

★ 임수가 너무 강하거나 약한 경우의 원인과 처리법

너무강한경우 경의 印에 의해 강한 경우 임수가 경금 印에 의해 생을 받는 경우 강해진다.  이 경우는 무토에 의해 임수를 제하는 것을 기뻐한다.
비견에 의해 강한 경우 임수가 중첩되면 강해진다.  이 경우는 무토에 의해 임수를 제하는 것을 기뻐한다. 또한 임수가 그렇게 강하지 않을 때는 을목이나 병화도 도움이 된다.
겁재에 의해 강한 경우 임수가 계수를 만나면 강해진다.  이 경우는 制는 그렇게 효과가 없다. 병화가 있으면 그 해가 다소 경감된다.
너무약한경우 (기토)에 의해 약한 경우 임수가 기토의 극을 만나면 약하게 된다. 이 경우는 갑,을,경,임,계  등을 기뻐한다. 갑목과 을목은 기토를 제하는 작용을 하며 임수와 계수는 직접 약한 임수를 강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경금은 기토를 설하여 약하게 하며 또한 임수를 생하여 강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秘傳-오행과의 관계>

임수는 갑목을 극하지만 생하지 못한다. 즉 임수는 갑목과 그리 좋은 관계가 아니다. 갑목과 을목은 임수에 대하여 때로는 좋은 관계를 만들 때도 있다. 임수는 을목을 생하지만 극할 때도 있다.
임수와 병화는 상생으로 매우 좋은 관계다. 강휘상영.
임수는 무토를 극할 뿐 이득이 없다. 반대로 무토는 임수를 어느 정도 억제할 수가 있다. 임수와 기토는 서로 극하며 전연 이득이 없다. 기토를 매우 싫어한다.
임수는 경금을 설하고 경금은 임수를 생한다. 그러나 임수 쪽이 더 크게 작용한다. 임수는 신금을 조절하는 좋은 작용이 있으나 신금은 임수에 대하여 작용하지 않는다.
임수와 임수는 서로 돕는 사이지만 임수와 계수의 관계는 더 크게 상조 한다. 그러나 너무 강한 경우는 도리어 해가 된다. 둘 다 기신으로 작용하면 매우 흉하다.

 

<補註>

(희신으로 작용하는 경우)
 + 甲
수중유영(水中柳影)
물위의 수양버들 그늘과 같은격. 성실성이 풍부하고 자신의 재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행운이 따름. 병화가 있으면 더욱 좋다.
 + 乙
출수홍련(出水紅蓮)
물위에 나와 있는 붉은 연꽃과 같은 격. 자기 능력 이상으로 재능을 인정받아 남의 도움으로 성공.
 + 乙 + 丙
강휘상영부유영(江輝相映浮柳影)
한 마디로 인복이 두터운 부명(富命).
을목의 입장과 비교.
 + 丙
강휘상영(江輝相映)
강위에 빛나는 그림자가 서로 마주하고 있는격. 운이 강하고 재운이 깃들어 일확천금의 복덕을 누릴 수 있음. 갑목이나 을목이 있으면 더욱 좋음.
 + 戊
산명수수(山明水秀)
직장 근무로 성공하는 명. 조직 생활에 잘 적응하고 리더십을 갖춤.
★ 壬, 戊, 丙 이나, 壬, 戊, 丁의 삼자간 조합은 재관쌍미(財官雙美)의 전형적 상격(上格)으로 부귀를 겸전하게 된다.
 + 庚
경발수원(庚發水源)
깊은 곳에서 발하는 수의 원천이라는 격. 많은 사람들의 원조를 받아 대성하는 명.
 + 癸
천진지양(天津之洋)
하늘과 바다를 건너는 나루터와 같은 격. 모든 경쟁에 강하며 그 결과로 순조로운 행보를 유지함.
★ 계수가 기신으로 작용하면 충천분지
 (기신으로 작용하는 경우)
 + 己
기토탁임(己土濁壬)
흘이 물을 탁하게 하는 격. 남성이면 재물, 직장운이 나쁘며, 여성 또한 직업운이 안좋고, 이성간의 일을 그르치기 쉬움.
 + 壬
왕양대해(汪洋大海)
물결이 이는 망망 대해 격으로 무슨 일이든 지나쳐 실패하게 됨.
 + 癸
충천분지(沖天奔地)
하늘을 찌르고 땅을 내닫는 격. 저돌맹진으로 인해 생명이나 재산에 심대한 타격을 입기 쉽다.

 

반응형

 

-癸水論

1.       계수의 강함을 결정하는 것은 양간과 마찬가지로 根과 계절의 관계이다.

2.       계수는 양간과 마찬가지로 강한 것을 좋아하고 약한 것을 싫어한다.  또한 계절과 통근에 의해 강약이 정해진다.

3.       계수는 금(인성)으로부터 생을 받는 일이 없다. 그러므로 지나치게 약할 때라도 금을 용할 수가 없다.

4.       癸水는 丙火와 마찬가지로 타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타간에 의한 강해지는 것도 아니므로, 십간상 특별한 배합을 논하기 어렵다.

5.       계수가 임수와 함께하면 계수가 강해지는 것이 아니라 임수가 강해진다.  또한 비견이 많은 경우에는 계수가 너무 강하다고 볼것이 아니라, 夏에는 濕이 되고 冬에는 寒이 되며, 타간과 같이 단순히 강한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

 

<秘傳>

★ 계수가 너무 강하거나 약한 경우의 원인과 처리법

너무강한경우 계수는 너무 강한 경우가 거의 없다.  강해지더라도 상관을 만나면 큰 해악은 없다.
너무약한경우 ,을에 의해 약해지는 경우 계수가 갑목이나 을목의 설기에 의해 약하게 된 경우다.  이 경우는 계수의 도움을 가장 기뻐한다.
병화에 의해 약하게 되는 경우 계수가 병화의 극에 의해 약하게 되는 경우에는 계수의 도움을 가장 기뻐한다. 계수의 도움이 없는 경우는 임수로 어느 정도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편관에 의해 약한 경우 계수가 기토의 편관에 의해 극을 받고 있는 경우다. 이 경우는 갑목으로 기토를 제하는 것을 기뻐한다. 또한 갑목이 없는 경우는 을목으로써 대신할 수 도 있다.

 

<秘傳-오행과의 관계>

계수는 갑목과 을목을 생한다. 을목은 계수를 설하지만 갑목은 계수를 설하지 않는다.
계수는 병화를 극하며 정화도 조금 극한다. 어느 것이나 나쁜 관계가 된다.
계수는 기토를 생하며 기토는 계수를 제할 수가 없다.
계수는 경금을 극하지만 경금은 계수에 대하여 무작용한다.
계수와 임수는 매우 상조하지만 계수와 계수는 관계가 없다.

** 계수는 비와 같은 것으로, 기토에 의해 제어 당하지 않으며, 경금을 녹슬게 한다. 그러나 경금, 신금으로부터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또한 계수(비)는 임수(호수)를 상조하지만, 계수 비견끼리는 서로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다.

 

<補註>

(희신으로 작용하는 경우)
 + 己
습윤옥토(濕潤玉土)
직장 생활이 적성에 맞으며 관청이나 대기업이 적합한 명.
★己土가 기신으로 작용하면 남성은 직업상 문제가 발생하고 출세가 어렵게 되며 여성은 남편으로 인해 고생하기 십상이다.
 (기신으로 작용하는 경우)
 + 丙
흑운차일(黑雲遮日)
재물이 뜻대로 쉬 모이지 않고 손실을 보는 일이 잦음.
★丙火가 희신으로 작용하면 의미가 반전됨.  일생동안 재운의 혜택을 누리는 데, 이는 비온 뒤 화창하게 개인 형상.

 

 

 

- 참고

l       陽干의 강약은 계절이 가장 중요하며, 너무 약해지는 일은 드물지만, 일단 너무 약해져 있으면, 약함을 보충하기 위한 生扶가 좀처럼 효과를 보기 어렵다.  따라서 비견(특히 지지의 根으로서)으로 약함을 보충함이 가장 좋고, 너무 강한 경우 관살을 기뻐한다.

l       陰干은 반대로 사주의 타 간지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으며, 너무 강해지는 경우는 드물지만, 너무 강한 경우라도 설하는 상관을 만나면 큰 해는 되지 않는다.  따라서 강한경우 상관으로 설기하는 것이 좋고, 약한 경우 비견보다는 겁재나 인성이 좋다.

l       이상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구분 陽干 陰干
강약의 결정 계절이 중요함 타간지의 오행에 의해 좌우됨
강한 경우 관살을 기뻐함 상관을 기뻐함
약한 경우 비견(특히 根)이 좋다. 비견보다 겁재나 인성이 좋다.
특성 너무 약해지는 경우는 드물지만, 약하면 생부의 효과가 적다. 너무 강해지는 경우는 드물지만, 상관을 만나면 큰 해는 없다.

 

 

 

계수(癸水)의 속성 특징, 계수일주

​ ​ 계(癸)의 속상(屬像) ​ 계(癸)글자는 “헤아리다” 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헤아리고 분별한다는 뜻에서 “헤알릴 규(揆)”에서 따왔다. 계(癸)글자를 파쇄(破碎)하여 보면 “癶 ”글자

kingant1541.tistory.com

 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