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 격국] 정인격 . 편인격 알아보기

1. 정인격, 편인격의 意義

우선 정인이나 ,편인이나 모두나를 生해주기 때문에

정,편을 구별하지 않고 모두 인수격 (印授格)이라 부른다.

인수격이라 칭하려면

* 우선 월지장간에 일간대비 인수가 월지에 암장(暗藏)되어 있어야하며..국(局)

* 또한 암장된것이 천간(天干)에 투출 (透出)되어야 하며......................격 (格)

* 인수가 포함된 월지궁이 형,충을 당하지 않아야 격이라 논할 수있고

* 또한 투출된 천간이외의 천간과 지지에 인수가 없거나, 편중되지 않아야그 격이 높아진다.

* 설령 월지가형,충을 당해도 운(運)에서 그형,충을 해소하는경우 그격이 성립된다.

* 월지장간에 인수가 없는경우 인수가 그 사주를 대표할 경우 인수격으로 정한다.


2, 인수격의 구성요소

우선 인수라함은 그육친이 함유하고있는 뜻이문서,실력,도장따위이다.

이러한 인수가 격을 이루거나 , 사주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때(용신, 희신등)

제대로 인수의 기능을 드러내려면 함께움직일 타육친이 필요하다.

예를들면 인수가 문서라하면, 그 문서가 효력을 발휘하려면 국가기관의도장(관성)이 필요하다.

도장없는 문서는 효력이 없고, 그실력을 인정받을 수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인수격의 용신은 사주내에 없어도 운에서 오면 써먹을 수있는데이 구성요소인 관성은

운에서 와도 제대로 써먹을 수가 없다.

예) 인수격이 잘 발달 되어있을 때 관성이있으면 그사주는 관을 이용하거나

실력을 써먹을 자리를 획득할 수있으나,관성이 없으면 예술가나, 기술자등으로 진출한다

이유는 인수격이라하면 일간을 생해주기 때문에 일간이 강한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강해진 일간을 좀 제어해주어야 일간이 올바른 사회성을 갖고 제대로된

실력행사를 하는데. 관성이 없는경우 일간은 그기운을 드러내놓고 표출하므로일간이

생해주는 식신이 강해지기 마련이어서 운에서 관성이 오면식신이 관성을 깨트리기

쉽기 때문이다. 물론 다 그렇지는 않으니사주전체적인 강약을 잘 구별해야 한다.


3, 인수격의 용신( 사주첩경 참조)

*인수용관살격(印受用官殺格)

일간이 강하고 재성이 많으면 관살을 용신으로 한다.

(이유는 일간이 강하고 재성이 강하면 재성이 인수를극하여서(탐재괘인)

인수격이 파격이 될수 있기 때문에 관살을 용함으로 재관인으로 유통시키고, 강한 일간을

다스릴수잇기 때문이다)

*인수용재격(印受用財格)

일간이 강하고, 인수가 많을경우 재성을 용신으로 정한다.

(이유는 강한 일간에 또 인수가 일간을 생조할경우 일간은 육친표현적으로 해석하면

계획만 많고, 쓸데없는 공상만 하기 일쑤이다, 또한 인수가 많으면 게으른 사람이 많다.

고로 재성은 현실참여를 의미하므로 일간이 그 계획등이 현실적으로 써먹을수가 있다

위의 탐재괘인과는 반대의 경우이니 잘 살펴야한다.

흔히 인수격에서는 재성을 아주 꺼리는데 그 이유는 재성이 인성을 극하기때문이나

이처럼 인왕신왕한 사주에서는 재성이 중요히 用할 수있으니 그묘용의 맛을 잘 음미해야한다)

*인수용식상(印受用食傷)혹은 관살격(官殺格)

일간이 강하고 비견,겁재가 많으면 .. 관살로 용신하고 관살이 없으면 식신,상관으로 용신한다.

*인수용겁격(印受用劫格)

일간이 약하고 재성이 많을경우 비견,겁재로 용신한다.

(이유는 인수격에 일간이 약하면 재성을 감당할 수가 없다. 육친으로 표현하면

일을 감당함에 있어 일간이 그 능력이 약하여 재성이라는 재물과, 현실참여가 약하거나

들어롤 돈은 없고, 나갈돈만 많은 사주이다. 또한 결혼한 남자의 경우 그 아내가

가정경제를 책임지고있는 사주이다. 이러한 사주에 재성이 인성을 극(剋)하므로

고부간의 갈등도 볼 수있고. 자칫 돈 때문에 건강을 잃을 수도있다

이때에는 일간과 동기인 비견,겁재가 일간을 도와 재성을 다스리니..

득비리재(得比理財)가 되어인성도 보호하고, 일간이 재성도 다스릴 수 있게된다.

*인수용인격(印受用印格)

일간이 약한 상태에서.. 식신 ,상관이 많거나관살이 많을 경우인성을 용신으로 한다.

(이유는 일간이 약한경우 식,상이 많으면 일간의 기운을 설기(洩氣)하는게 아니라

도기(盜氣)가 되기 때문에 일간은 탈진상태에 이른다.

이때에 인수는 일간을 생해주고, 식상의 도기를 막아주며.

또한 관살이 많을경우 관살은 칠살(七殺)이 되어 일간을 극하므로 인성을 용하여서

관>인> 일간으로유통시켜주니 이른바 협상의 득(得)이라 할 수있다.

격국과 용신이라고는하지만 모두 그 근본이 오행의 생극제화의 이치에따름이니

그 격과 용신 몇글자를 외우는 것보다 오행의 이치를 깨달음이 더더욱 중요합니다.


4, 인수격의 시결(詩訣)해석..사주첩경중요부분 참조


*생월에 인수를 보면 희관성(喜官星)하는데 주중(柱中)에 官이 없어도運이 官鄕에 行하면 福必淸한다.

*인수가 死絶運에 들면 무기력하여 나를 생하지 못하는 것이니 身不利하게되며

또 인수가 財運에 行하여도 역시 財剋인으로 인수가 破傷되니 만사가 다 무상하게 된다.

*인수가파상,충파가 없으면 祖宗에 허물이 없어 가문전래의 가풍을 고쳐크게 빛내게될것이며또 유년

에 관이 旺한 운기면 부귀상전에 관의힘을 얻는다.

*만약. 인수가 중첩하고 관성이 없으면 관의 복이 이르러 오지 못하니 글과 才藝는 많으나

외로운 선비에 불과하다.

*고로 인수가 거듭있으면 한번더 干地에서 官이 있는가 없는가를 잘 살피고.

官은 없고, 도화살(挑花殺)이 있으면 그는 풍류라로써 집안을 파상하기 쉬운것이다.

*인수가있어 나를 생하는데 재성이 있으면 인수가 파상당하여 퇴직당하고, 직장에서

휴직을 당하는등의불이익이 따른다.

*일간이 식신을 생조해 식신이 가상관격으로 있을 때 편인운이오면 도식(倒食)이되어

도산을 당하거나 파료상관(破了傷官)으로 殺을 제압하지 못하니 일찍죽던가, 질병이 끊이질 않는다.

* 인수가 제일 싫어하는것은臨死絶하는 것과 財運에 이르는 것과, 空亡에 이르는 것이다.고로 공망맞

은 인수나, 재극인을 당한 인수가 만약 死,絶鄕運에 임하거나 또는 財運에 이르면 필히 凶禍가 일어나

는 것이니 투신자살하거나 아니면 화상또는 목을메어 자살하기 쉬운것이다.

여기서의 사절운이란 일간의 사절운이 아니라 인수의 사절운임을 명심할것!!!

*인수가 많아 일간이 태왕한 사주는 마땅치 않은 것인데 항상 무사안일주의로 살아가며,

인수태왕에 관살이 많으면 신왕 관왕한 사주로 관인 상생을 말함이니 인수를 제거하지 않고도

그 명성을 빛낼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