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묘진(寅卯辰), 봄의 갑목(甲木) 총정리

인묘진(寅卯辰), 봄의 갑목(甲木)
인묘진(寅卯辰), 봄의 갑목(甲木)

인묘진(寅卯辰), 봄의 갑목(甲木)

 

이제 막 씨앗에서 싹을 트고 나온 어린 나무이다. 병화로 키우고 계수로 영양공급해야 한다.

 

거기에 활동공간인 토 추가.

병화가 메인이고 계수나 토, 경금은 보조의 느낌...辰토가 좋다. 잘 어우러지면 부귀명.

 

생목이므로 사목같이 산업사회의 재목으로 쓰여지는 것이 아닌, 사회속에서의 성장성에 주된 가치를 둔다. 성장성이라면 봄의 갑목이 최강이다! 대체로 병화를 보므로, 가을과는 달리 귀나 명예보다는, 돈을 추구하게 되는 경향이 많다. (묘월 양인합살제외)

 

봄의 갑목은 위로 솟아오르려고 하므로, 갑목다운 성질이 아주 강하게 된다.

따라서 끝도 없이 위로 오르려고 하는 성질이 있다. 목화는 엑셀이다. 금토은 브레이크.

갑목은 상향심리로 현실보다 이상에 가치를 둔다. 을목은 이상보다 현실.

진취적. 일등주의. 추진력, 리더쉽, 희망적. 갑목은 천간의 우두머리이다.

 

지는 것을 싫어하며 내가 최고라는 생각과 똥고집이 있게 되는데...그래서 갑목이 최강이 되는 묘월에는 경금을 얻어서 양인합살이 되어야 만이, 갑목이 예의와 겸손을 알게 되는 것이고, 브레이크인 경금이 없으면, 아주 내가 지구최고라는 생각으로 제멋대로 설치게 된다.

 

위로 오르려는 공간적인 성질이 있다. 따라서 갑목을 건축물로 보기도 하는데, 경금이라면 갑목편재가 재물이므로, 높은 건축물이나 부동산이 편재가 되어서 이쪽으로 대박날 소지가 있다.

 

 

甲목이 1개이면 독야청정한 소나무. 조직을 옮기지 않는 것이 좋다. 한자리의 지도자.

한 조직에서 성장해야 한다.

 

甲목이 2개이면, 甲甲 (갑갑병존),

 

서로 성장하기 위하여 다투게 된다. 병화를 서로 보기 위하여 저돌적으로 서로 위로 치솟아오르려는 경쟁을 하게 된다. 대림을 이루게 되므로 토가 강해야 한다. 항상 경쟁하는 운명이다.

경쟁이 치열하므로 이직하는 것이 좋다. 뭐 경쟁이 있어야 발전을 하는 법이니...

 

甲목이 3개면, 甲甲甲 (갑갑갑삼존),

 

더욱 경쟁이 치열. 왕성한 활동력으로 안하무인격. 경금이 어떤 역할인지는 모르겠다.

원국내에 있으면 경금이 너무 약하다. 원국에 없는데 대운에서 경금이 오면 어떨까??

 

乙목이 있으면 가지가 많고 쭉 올라가지 못하므로 구부러지고 퍼져서 재목이 못 된다.

갑목을 타고 올라가서(등라계갑), 병화를 가린다. 계수를 뺏어먹는다. 경금의 공격으로 위태롭지 않으면 을목은 대체로 귀찮은 존재이다. 을목으로 인한 피해의식을 느끼면서 살아가게 된다.

 

丙화를 보아서 성장하고 팽창한다. 계수는 지지에 지장간정도로만 있어도 충분한 느낌.

병화가 저돌적인 엔진이라면, 계수는 지속력을 가능하게 해주는 밧데리이다. 목화통명.

 

丁화가 있으면 그늘아래의 호롱불이다. 적절히 힘을 빼주는 듯하나, 성정성에 있어서 만큼 병화만은 못하다. 그늘아래의 쉬어갈수 있는 공간이고, 정화는 경금을 적절히 조절하므로 경금까지 있다면 적당한 가지치기가 되므로, 갑목이 예의바르게 된다. 기술자나 교육업에 인연이 있다.

 

반응형

 

戊토는 산속의 갑목이다. 병화를 가린다는 점에서 안좋다.

병화가 없으면 인적없는 산에 외로이 솟아있는 나무. 임수와 병화정도 있으면 좋다. 갑목의 팽창을 저지. 브레이크다.

 

己토는 왠지 언 밸런스한데, 작은 정원에 큰 나무를 심은 격으로, 뭔가 안 어울린다. 그러나 나름 쓸만하다. 갑목다운 베짱이나 고집,용맹은 약해지나 디테일에 능하게 된다. 안 어울리는 듯하지만 돈복은 있게 된다. 거부?? 오히려 무토보다 좋을수 있다.

 

봄의 갑목은 자라나는 꿈나무이므로 庚금을 조심스럽게 써야 한다. 힘조절을 잘해야 하는데, 丁화가 필요하다. 寅월에는 우수이전에 경금을 잘 안쓰지만, 卯월 이후로는 도끼로 찍어도 넘어가지 않으니 오히려 경금에게 일을 시키는 존재가 된다. 辰월에는 庚이 壬을 생하는 목적. 

 

辛금은 서로 피해가 될소지가 많다. 금도 이지러지고 갑목도 상처를 입을 소지..적절하게 가지치기를 해줘야 하는데...대체로 골치아픈 관계이다.

 

壬수는 병화와 더불어 필요한 존재이다. 병화를 빛내주고 큰물을 잘 빨아들이는데, 시기에 따라서 다르나 진월에 좋다. 인월이면 얼음판이 될 소지가 있다.

 

癸수는 천간에 투출하면 병화를 가리니 먹구름이 낀격. 지지가 좋다.

임계수는 봄에는 지지가 좋고, 천간에 투하면 갑목이 얼어붙을 소지가 있다.

 

 

수가 많아서 갑목이 얼어붙으면, 학습능력이 떨어져 학업에 장애가 올 소지가 있다. 아주 힘들게 산다.

화가 많으면 정신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신끼가 들릴수 있다. 화는 정신세계.

목이 너무 많으면 안하무인이다. 예의가 없게 된다. 베짱이 두둑하다. 간, 담에 문제 소지.

금이 많아서 목을 치면 몸이 아프게 된다. 아주 약해져서 갑목의 성질을 잃어버리게 된다.

토가 많으면 재다신약이니 돈돈돈한다. 성장하기 힘들어지고 공부는 못하나 운에 따라 돈먹는다. 

 

봄의 갑목은, 시작, 머리, 공격, 일등, 상향지기, 드래곤, 고집, 용맹, 책임자, 우뢰, 돌진 등의 의미.

직업으로는 교육, 인사, 총무, 재무, 건축, 유아, 사회사업, 목재, 사람만나는 일 등등...

 

갑목의 돈은 토이다. 따라서 부동산 쪽과 인연소지... 토로서 활동공간을 넓힌다.

진술축미를 유심히 보아야 한다.

 

寅월: 丙丁화와, 지지 癸수

卯월: 양인이라 강하므로 丙丁庚, 지지 癸수. 금이 없으면 목화통명이 좋다.

辰월: 토기가 강하므로 壬수와, 수의 근원지인 庚을 쓴다. 지지 수국이면 부목이 된다. 무토 필요.

디테일한 것은 각론 참조..

 

봄의 갑목은 목화통명으로, 丙丁화를 보아서 식상생재하는 형태가 가장 이상적이 된다.

 

 

 

 

[적천수] 사주팔자 갑목론(甲木論)

갑목론(甲木論) 【原文】甲木參天。脫胎要火。春不容金。秋不容土。火熾乘龍。水宕騎虎。地潤天和。植立千古。 갑목은 하늘을 찌를 듯이 치솟고 탈태가 되려면 화가 필요하다. 봄에는 금을

kingant1541.tistory.com

 

 

[명리학기초] 십간론(十干論) 甲木(갑목) / 乙木(을목)

십간론(十干論) 01.甲木 ◎甲木 체상(體象) 甲木天干作首排 갑목은 천간의 맨 앞머리에 놓이고 原無枝葉與根荄 본래 가지 잎 뿌리도 없는 것이며 欲存天地千年久 천지에 오래도록 존재하고자 한

kingant154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