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 진토(辰土)의 특징

진토(辰土)의 특징

진토(辰土)

 

천간 戊土가 지지로 내려와 변용한 모습

진(辰)의 뜻(子典)

1. 별의 이름, 수성水星

2. 다섯 째 지지(12지지의 총칭으로 쓰기도 함)

3. 별의 총칭, 별신자라고도 읽습니다.

4. 임금

5. 때, 시각

6. 아침, 새벽

7. 북극성(북신北辰)

8. 날(생신生辰), 날을 받음(택일擇日)

9. 해와 달, 별의 총칭(일월성신日月星辰)

진토(辰土)의 물상

1. 양토陽土

2. 습토濕土

3. 진흙(泥土 : 이토 ....泥진흙니)

4. 성질이 온습溫濕하여 농사를 짓고 나무를 키울 수 있는 흙(沃土)

5. 감옥(獄)

6. 한약韓藥, 생약生藥

7. 우물, 연못, 저수지, 댐, 등 물을 저장하는 곳(수고水庫)

8. 둑, 제방提防

9. 분묘墳墓

10. 큰 도로道路

11. 농촌, 전원, 지대가 낮은 곳

12. 여러 종류의 물건이 섞여서 모여 있는 곳(시장)

13. 연락망, 조직, 기구, 시스템

14. 정밀한 기기류機器類

15. 신용

16. 용龍, 물고기, 누에

* 방향 - 동남방, 손방巽方, 계절- 봄(3월), 辰시(07:00 ~ 09:30), 색-황黃, 수 - 5

반응형

진토(辰土)의 인체

1. 근육

2. 피부

3. 가슴(胸), 배(腹), 옆구리

4. 위장

5. 복강腹腔

6. 신장腎腸, 방광膀胱

7. 내분비계통

8. 직장直腸

9. 식도食道

10. 어깨(肩) | 肩어깨 견

11. 췌장

12. 종양腫瘍| 腫종기종, 瘍종기양

:진토(辰土)의 지장간 :

 

乙癸戊(월률분야 : 乙 9일, 癸 3일, 戊 18일)

왜 乙癸戊인가 ?

'지장간의 올바른 이해'에서도 말했지만, 지지는 천간이 땅으로 내려

와 변용變容한 것입니다. 천간이 지지로 변용하려면 변용에 필요한 다른 천간

과 팀을 이뤄야 가능합니다. 이때 같이 팀을 이루는 천간을 지장간이라고 합

니다. 지장간은 문자 그대로 '지지에 감춰진(숨은) 천간'이라는 뜻입니다. 세상

은 천지인天地人 즉 하늘과 땅과 사람의 삼재를 갖춰야 모습을 드러낼 수 있

습니다. 이를 사주에 적용하면 천간은 천원天元, 지지는地元, 지장간은

인원人元이 됩니다. 지장간을 인원용사人元用事라고 하는 것은 사람의 일은

결국 지장간의 작용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辰의 지장간에는 왜 乙癸戊가 있을까요 ? 다시 말해 , 천간 戊土가 지지로 내려

와 辰土로 변용하려면 무슨 이유로 乙木과 癸水가 필요하냐는 겁니다. 바로

이해하기는 어렵겠지만, 여기엔 우주 변화의 원리가 들어 있습니다. 그렇다고

원리에 너무 매달리면 본말이 전도될 수 있으므로 이를 이해하는 선에서 멈출

것을 권합니다. 따라서 조금만 들여다 보겠습니다.

辰중 乙木을 卯 월의 여기(餘氣)로 보는 데는 이견이 없습니다. 월률분야와 지

장간은 밀접한 관계이고 지지는 월의 진행 순서니까요. 乙木을 卯월의 여기

로 보는 것에 더하여 이렇게 이해해도 됩니다. 천간에서는 木火(甲乙丙丁)

와 金水(庚辛壬癸)의 운동 사이에 土가 있으면 되지만 지지에서는 계절과 계

절 사이에 土가 있어야 합니다. (이해하기 어려우면 앞의 10천간과 12지지,

오행의 생극에 관한 글을 읽기 바랍니다) 辰土는 봄에서 여름으로 건너가는

징검다리로 木(봄)과 火(여름)의 운동을 연결하는 통로입니다. 따라서 卯월의

왕성한 木氣가 어떤 형태로든 辰에서 일부 갈무디 돼야 하는데 그러려면 甲보

다 乙이어야 합니다. 고庫에 들어가려면 활동적인 양목보다 비활동적인 음복

이 유리하니까요. 또 寅卯辰은 木方이고 辰은 木(봄)의 끝 달이나 당연히 木이

있어야 하고, 고에는 음간만 들어갈 수 있으니 乙木이라고 이해해도 됩니다.

그렇더라도 이 대목에서 중요한 것은 , 辰戌丑未를 계절과 계절을 잇는 징검다

리 내지는 통로로 이해하는 것입니다.

癸水는 왜 있을까요? 사실 이 질문은 적절치 않습니다. 辰은 水의 고庫이므로

당연히 水가 있어야 하고, 고에는 양수가 아닌 음수가 들어가야 하니까요. 따

라서 "辰이 수고水庫라면 어째서 물의 계절인 겨울의 끝(丑)에 있지 않고 木의

계절인 봄의 끝(辰)에 있느냐? 라고 물어야 선생을 놀라게 할 수 있습니다. 답

은 이렇습니다. 12 지지를 보면 고지는 한 계절씩 건너뛰어서 위치합니다.

 

火庫는 여름의 끝이 아닌 가을의 끝에,

金庫는 가을의 끝이 아닌 겨울의 끝에 있습니다.

이는 오행의 운동 상생 운동을 유지하기 위한 정밀한 배려입니다.

寅卯辰 봄은 辰에서 완성된 후 巳午未 여름으로 넘어가는데(木生火)

辰에 木의 질質인 乙이 있어야 이어서 들어오는 여름의 火를 생 할 수 있습니다.

즉 木의 운동이 아직 끝나지 않은 것입니다.

 

乙木은 巳午월까지 火의 운동을 돕고 여름이 끝나는

未월에 비로소 입고하여 쉽니다. 그러니까

辰중 癸水의 역할은 乙木을 생하여 乙木이 火의 운동을 잘 돕도록 하는 데 있습니다.

辰이 수고水庫가 되는 것은, 겨울에 넘어온 水가 水生木의 임무를 완수하려면 水庫는

木왕절인 卯월의 다음에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戊土야 辰월의 본기이니 당연하지만 왜 己土가 아닌 戊土일까요 ?

선양후음의 원칙에 따라 지지는 양수陽水인 子로부터 시작하므로 子陽, 丑陰, 寅陽, 卯陰, 辰陽

이 되니까 戊土입니다. 또 辰은 수고水庫이므로 물을 가두고 저장하려면 己토는 물러서

어렵고 戊土라야 제구실을 할 수 있습니다. 나머진 님께서 궁리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렇다고 원리에 너무 매이지는 마시고요. 원리? 그게 뭔데?

명리를 한바퀴 싹 돌고 2~3년 혹은 5~10년 정도 된후, 다시 명리를 시작할 때

그 원리를 탐구하시면 타이밍이 적절할 줄로 압니다.

 

일단 선학들이 고심과 탐심과 절차탁마하여 밝여 놓은 것들이니 일단 받아 들이고

나의 손에 익으면, 원리를 파악하고 들어가야 우주의 신비에 가깝게

다가설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첫 주자가 소강설선생이 아닐까 합니다.

우주의 끝을 본분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소강절 황극경세서 --- 김일부정역 --- 탄허스님 --- 문광스님 이런식으로

역의 대가들이 계시지요, 평생을 미친놈 그리고 호적에서 까지 이름이 파여가며

김일부대성사께서는 정역팔괘도 하나늘 우리 동양 한국에

선물하고 선화하셨지요. 

 

다행히 계룡, 오대한 학파가 명맥을 이어 이렇게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동해안 침식이나, 일본지진, 그리고 방금 톡에허 확인했는데

워싱턴 사는 친구가 양력오월에 눈이 내린것을 사진찍어 올려 보냈습니다.

탄허스님의 말씀을 빌리자면 정역팔괘도의 내부의 7地2天의 화가 지구의 내부에 들어가

마치, 처녀가 처음 남자를 맞이 하듯, 지구를 여자로 볼때, 지구의 성숙을 역학적으로

풀어놓으신것이 정역의 한 소절 소식입니다.

야튼 본론으로 돌아 가서 이부분은 겁빈나 생각을 적습니다.

여담 : 寅木을 설명하면서 '寅은 甲이 땅으로 내려와 변용되 모습'이라고 했더니

어느 분이 甲=寅이냐 ? 고 물었습니다. 그럴 리가요. 둘은 같을 수도 없고 같아서도 안 됩니다.

甲은 천간이고 寅은 지지니까요. 寅 = 戊 + 丙 + 甲 이라는 등식은

寅은 戊丙甲의 집합이라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셋이 모여서 만들어내는

제3의 운동에 비중이 있음을 이해해야 합니다.

진토(辰土)의 운동 속성

1. 용은 조화와 변화의 상징이다.

甲년과 己년의 辰월은 반드시 戊辰월이 되는데 이는 갑기가 합해 토로 변하므로

변하는 오행이 진월의 천간으로 오기 때문입니다.

년을 찾고, 가령 갑년이면 갑기합화 토를 읽어냅니다.

그럼 합화된 토를 생하는 것은 병화 즉 병인월부터 시작하는 것입니다 .

반대로 일에서 시를 찾을때는 가령, 오늘같이 을해일이면

을과 합하는 경, 즉 을경합화금 즉 금을 극하는 오행 병화부터 병자시부터 시작하는 것입니다.

년을 보고 ---월을 찾고

일을 보고 --- 시를 찾는 방법입니다.

2. 辰은 申子와 합하여 수국을 만든다. 이때 申은 없어도 큰 영향이 없지만

子가 없으면 세가 약해 수국을 만들기 어렵다. 그러므로 申辰보도 子辰의 세력이 더 강하다.

이때 子水는 辰중의 戊土와 합하여 입고하며 결과적으로 戊土의 극을 받는다.

3. 辰土는 수고이므로 당연히 해수를 입고시킨다. 입고된 亥중 임수와 갑목은 갑갑해지므로

갑갑해지므로 귀문관과 원진이 작용한다.

4. 辰과 酉가 합하면 辰중의 을목은 상한다. 계수는 그대로 있으나, 무토는 유금에서 죽어 금으로 변한다.

이때 습기가 과하면 금은 녹이 쓸어 그 기능이 떨어진다.

5. 辰을 丑未의 庫로 보는 이도 있다. 진위 여부를 떠나 묘고墓庫의 운동 속성을

깨치면 사주는 거의 다 본 것이다.

6. 辰土는 火氣를 설하고 金을 생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욕심이 많아 욕을 먹는다.

창조성이 있어 일을 매끄럽게 처리한다.

 

 

 

사주 명리학, 신살(神煞) 이란 무엇인가? 띠(년지) 기준

신살(神煞) 길신(吉神)을 신(神) 흉살을 살(殺)이라 약칭하여 신살(神煞)이라고 하는데 일간위주의 명리학이 본 궤도에 오른 송대(宋代) 이전까지는 인간의 운명을 당사주와 신살 등으로 단식 판

kingant1541.tistory.com

 

 

청소년,유아기 자녀의 사주에서 육친이 과다하거나 부족할때 교육 개운법

청소년,유아기 자녀의 사주에서 육친이 과다하거나 부족할때 교육 개운법 아이의 사주를 펼치며 운명을 묻는 글이 자주 올라옵니다. 부모의 마음이야 아이의 장래가 걱정도 되고 마냥 궁금하겠

kingant1541.tistory.com

 

 

사주팔자에서 격국 상신/구신, 기신이란? 핵심노트

격국 상신/구신, 기신이란? 길신격이든 흉신격이든 상신이 있다는 것은 격을 높이는 것! 주위의 조건이 부합되게 행동하고 하고자 하는 일에 협조가 되고 하고 싶은 것 다 하고 살아도 되는 것

kingant154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