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 편인의 관계 정리

 

편인의 관계

 

편인이란?

 

·편향적인 인성(印星)을 말한다

·정인과 비교 하면 전체가 인정하는 규범(정관)을 따르지 않고

자신의 기준에 따라 해석 판단하는 편의주의 방식을 택한다

·평범한 삶에서 벗어나 특별한 규범이 통하는 사회(편관)를 동경하는 모습

·세속적이기 보다는 정신과 영혼을 중심으로 살아가는 모습

·주어진 현실에서 특별한 개성을 보이고 특별한 재능을 발휘하려한다

 

참고(편인의 심리)

진심으로 대하면 거짓이라 오해하고,

거짓으로 대하면 진심이라 믿어주니 이런 경우가 세상에 어디 있어?

읍써?. 왜읍서? 편인 있잖어?

내 생각을 믿어주면 좋겠다!

내가 한일을 인정 해주면 좋겠다!

차라리 종교인이 되어볼까?

보이지도 만져지지도 않는 말은 믿어주니까!

아니다 승질을 내 볼까?

그러면 상대도 안하겠지.

혼자 있고 싶다!

반응형

편인과 다른 육신과의 관계

 

1. 일간 - 日干을 生하여 身旺을 이루게 한다.

身旺한 日干은 食神을 旺하게 하여 偏印의 해로움을 견디어낸다.

그러나 근약 하다면 도식되니 의식주에 문제가 생길수 있다

 

2. 겁재- 겁재의 재성성취욕구 에 편인의 아이디어가 더해진 이익 행위

(컨설팅, 투자자문, 매니저업, 부동산 시행업)

 

3. 비견 - 편재를 剋하여 제화된 편인을 헤치는 작용을 한다

노력에 비해 성과가 약하다

모친과 형제의 결탁, 스승과 동료의 결탁으로 이익과 결과의 무산

 

4. 식신 – 도식한다 , 의식주 문제가 생긴다

편관을 제화하는 식신이면 형벌이나 질병 발생주의

정관과 합을 하고 있는 식신이면 정관은 설기되고 식신은 극하는

이치이니 범법, 위법행위에 해당된다

 

5. 상관 – 편인의 아이디어와 응용능력의 만남

제도의 틈새를 공략한 정보 이용, 각종 브로커,

시세차익을 노린 이익사업, 경매, 창업 전문가, 예술행위

 

6. 정재 – 편인의 아이디어와 정재의 경제관이 만남(편인이 실용화 됨)

지모智謀를 활용하여 이권에 개입하다. 부동산, 각종 투자,

만약 식상생재되면 경제계에 이름난 인물이 된다

7. 편재 – 편재의 제화를 받은 편인은 세상에 모범적인 사회인이 된다

좋은 생활습관, 봉사심 등으로 약사, 영양사, 심리치료사

 

※편인과 재성의 관계는 대체로 긍정적이다

격을 잘보아서 판단한다면 진로에 활용 100%

살인상생 구조에 재생살 한다면 조직사회 구성원으로,

일간 근왕 식신생재 구조라면 자격증을 갖춘 개인사업자 형 으로 이해하자

살인상생 혹은 관인상생의 재성인지, 식신을 보호하는 재성인지 먼저 볼것

 

8. 정관 - 재생관이 안된 정관을 편인은 설기한다 (편인관설)

기본적으로 정관에 편인을 전복위화라고 해서

먼저 길하나 점점 길함이 변하여 화禍가 됨을 조심할 것

(사회혼란의 주범, 탈세, 남편의 무능, 직장의 부실, 급여중단 상황 등)

 

9.편관 – 편인의 문제점 파악 능력에 편관의 사법적 권한이 주어진 것

(감시,감찰 등 내부와 외부의 질서교란자들을 색출, 보건과 환경분야,

조직사회에서 감시분야, 편집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