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 일간의 이해와 처세

일간의 이해와 처세

 

일간

일간日干이란 간지로는 태어난 날을 일주 日柱 라고 하고

일주의 천간을 일간이라고 한다

육신에서는 아我, 신 身으로 부른다

 

일간의 능력판단

일간의 왕쇠강약을 구분하여 판단근거로 삼으며

다른 육신과의 관계에서 대항력을 갖추었는지를 보는 것이다

1. 왕 旺 : 근왕, 인왕, 비겁왕

근왕

일간이 지지에 근을 가진 경우

(사업적 추진력이 강하고 독립심이 왕성하다)

 

인왕

일간이 인성(편인, 정인)의 생을 받고 있는 경우

(조직이나 직장에 적응을 잘하며 자기의 적성을 계발하여 적합한 인물이 되려한다)

 

비겁왕

일간의 비견 겁재가 천간에 투간, 투출된 경우

(상부상조협력형, 경험을 통한 자기보완이 가능하며 공동사업, 대행업에 유리)

※ 육신은 관계학이다

신왕(일간왕)이 그가치를 제대로 발현하려면 태과 불급의 조화를 잘살펴야 한다

 

2. 쇠 衰 : 무근, 무인, 무비겁

왕旺과 반대로 인성의 생을 받지 못하거나 근이 없거나 비겁이 없는 모양을 말한다

일간과 인성(지적계발과 준비력), 식상(현장능력발휘력)에서 일간과 식상과의 관계용어이다

 

무근 無根 이면

식상을 생조하는 능력이 부족하니 주변인의 협조가 어렵 사업추진력 부족,

의타심이 크고 지구력이 약하다(끈기 부족)관살의 대항력 부족으로 불이익이 많다

 

무인 無印 이면

자기특기 없고, 남이 시키는 일만 하는 경우가 많다

 

무비겁 無比劫 이면

남의 인력으로 이용되고 정당한 보수에도 불이익이 있다

 

무근, 무인, 무비겁 이면

일간을 살피지 않고 왕(旺)한 육신을 따르게 되니 한가지 방면에 특출한 사람이 된다

반응형

3. 강强 ,약弱

 

신강身强

신왕이 지나쳐 다른육신을 극해하는 것을 말한다

 

인성왕 → 인성강

식상을 극하니 정신문명만을 강조, 물질문명은 소홀→배움을 못활용하다

관성을 설기 하니 평소 일등 시험불합격, 결실이 작다

 

근왕 → 근으로 신강

무모하고 비합리적, 재성을 강압하니 주변사람에 강요를 일삼는다, 인기하락, 고객이탈

 

비겁왕 → 비겁신강

탈재현상으로 재관이 구몰한다, 전체적 손실, 사람 잃고 돈잃고

 

신약身弱

신왕의 세가지 요건이 극으로 인하여 상처를 입은 것

비록 극을 당하였어도 신왕하면

참고 또참아 이겨낸다, 적응하다, 전화위복을 만들다

신왕을 갖추지 못한 것은

실패의 경험, 징크스 등으로 추진력상실과 실천력 부족현상이 나타남

 

인성이 재성의 극으로 인성약 되면(재극인)

진급누락, 성과부진, 진로갈등, 학업부진

편법, 재테크, 이권개입, 틈새시장, 인맥활용 등의 방법으로 살아간다

 

비겁이 관살의 극으로 비겁약 되면

공동사업 실패, 동료간 불화, 단체생활 이탈, 배신배반, 연대책임 현상

 

관살의 극으로 신약되면

사업적 추진력이 약해지고 직업적 안전성을 보장받는 일을 한다

 

일간의 처세에서 관성과 재성과 식상의 관계

 

관왕신약

조직에 종사하는 형으로 조직의 논리에 맞추다

 

신강관약

조직보다는 소유논리로 전환되어 자영업으로 감

 

관왕신왕

조직의 계급적 우위와 소유의 확대 둘다 취하고자 한다

 

신왕재약

소유영역을 넓히는 것으로 인왕,근왕,비겁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신약재왕

소유능력의 부재로 조직사회로 가려함→관왕신약과 다른 소유논리의 조직이다

 

신왕재왕

재성과 인성을 동시에 보호하다, 금전의 문서화 개념, 임대업

 

관살태왕

과로를 초래하고 체력저하와 임무수행에 지장을 초래한다

한가지일, 작은직책에 만족한다면 무난하다

 

관살혼잡 (정관과 편관이 함께 있는 경우)

이일 저일 중구난방에 업무과중으로 중심잡기가 어렵다

정관격 관살혼잡이면 더욱 심함

신왕식신

스스로 자신의 능력을 키우며 예방심, 연구심, 정신력과 지구력을 갖춘인물,

교육, 연구, 재난방지, 연금, 보험

 

식상과다

능력이상의 과욕으로 실패를 경험한다

불평불만이 많아 주변을 힘들게 한다 직장생활의 어려움이 많다

자신의특기를 갖출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