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기초] 귀문관살 원진살(怨嗔殺)이란?

[명리학 기초] 원진살(怨嗔殺)이란 ?

요약하면 :

(1). 처음에는 그리움과 사랑이 나중에는 애증과 집착
(2). 사랑하면 아파요 믿지 못하면 불행해요
(3). 당신의 원진살을 막아 줄 사람을 찾아야 됩니다.


~~~~~~~~~~~~~ 1. @ 원진살의 종류 @ ~~~~~~~~~~~~~

@. 자미원진살 (子未怨嗔殺)
@. 축오원진살 (丑午怨嗔殺)
@. 인유원진살 (寅酉怨嗔殺)
@. 묘신원진살 (卯申怨嗔殺)
@. 진해원진살 (辰亥怨嗔殺)
@. 사술원진살 (巳戌怨嗔殺)

팁 : 子未원진이 子酉귀문, 寅酉원진이 寅未귀문 나머지는 원진살이나
귀문이 서로 비슷합니다. 원진살이 심해지면 이때는 귀문관살로 힘들어 집니다. 한마디로 자신이 몸과 마음이 약해지면 원진살은 원진살 역할에서 귀문관살의 역할로 바뀌게 됩니다.


~~~~~~~~~~~~ 2. @ 원진살의 유래 @~~~~~~~~~~


@. 자미원진살 (子未怨嗔殺) {쥐는 양의 배설물을 꺼린다.}
양의 배설물이 쥐에게 조금만 몸에 묻어도 몸이 썩어들어가고
털도 빠진다고 한다.

@. 축오원진살 (丑午怨嗔殺) {소는 말의 게으름을 싫어한다.}
소는 자신이 무척이나 열심히 일하는데 말은 언제나 가만히
놀고 먹는 모습만 보이니 원망스럽다.


@. 인유원진살 (寅酉怨嗔殺) {범은 닭의 울음소리를 싫어한다}
장닭이 훼를 길게 세번 이상 치고 꼬리를 흔들면 호랑이나 귀신도
물러간다고 한다. 그래서 일까 부적을 쓸 때 닭의 피를 쓰는 이유가
있는 것 같다. 지금은 경면주사도 쓰지만 말이다.


@. 묘신원진살 (卯申怨嗔殺) {토끼는 원숭이의 궁둥이를 싫어한다}
세계 어느 곳을 가보아도 원숭이가 사는 곳에서 토끼가 같이 사는
법이 없다고 한다. 토끼의 눈 색깔하고 원숭이의 궁둥색깔하고 비슷해서
싫다는 설이다

@. 진해원진살 (辰亥怨嗔殺) {용은 돼지의 코를 싫어한다}
자기 코가 돼지를 닮아서 잘생긴 용모에 오점을 남겼다고 생각해서
원망한다.

@. 사술원진살 (巳戌怨嗔殺)
{뱀은 금속성의 개 짖는 소리를 허물을 벗다 죽는다.}
특히 발정기 때에 개 짖는 강한 소리는 고막이 없는 뱀의 귀에까지 울려서 뱀의 심장에 무리를 주어서 허물을 다 벗지도 못하고 죽어버린다고 한다.

 

반응형



~~~~~~~~~~~~ 3. @ 원진살의 기본 작용력 @~~~~~~~~~
그리움, 원망, 원한, 금지된 사랑, 불화, 이별, 증오, 분노, 고독,
고통, 사별, 증오, 애증, 집착, 중독, 의부증, 의처증, 불륜, 패륜,
재물손실, 질병, 상해, 자식실패, 고부간의 갈등, 신경성질환,
히스테리, 민감, 구설수, 망신살, 애착, 약물중독, 심신미약,
무병, 신병, 대인관계 불통, 폭발물, 영가장애, 귀신, 환각, 환청,
수면부족, 등 사주구조에 따라서 가볍게 혹은 무겁게 작용한다.

~~~~~~~~~~~~ 4. @ 원진살의 사고질병 @ ~~~~~~~~~~

@. 자미원진살 (子未怨嗔殺)
(이별, 원한, 고독, 횡액, 실패, 산액, 자식근심, 신장,
방광, 위장, 자궁, 피부, 등) *오행적 관점(토와물의 관계) = 믿음의 배신

@. 축오원진살 (丑午怨嗔殺)
(이별, 고독, 자식실패, 산액유산, 정신병, 위장, 비장, 심장, 복부,
눈 등) *오행적 관점(얼려있는 토와 불의 관계) = 축토가 오화의 생을 처음에는 반기는 듯 해도 나중에는 불편한 관계가 된다. 자미는 흙탕물이 되지만 축토는 오화를 꺼버리려고 하니 얼마나 화가 나는가 그래서 순간적인 폭발성 죄의식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할수도 있겠다.

@. 인유원진살 (寅酉怨嗔殺)
(신병, 단명, 불구, 수족상해, 부부생사이별, 관절염, 골다공증,
대장, 간, 폐, 손발, 허리, 신경통 등) * 오행적 관점(큰나무와 작은칼)
= 나무와 칼의 관계로 인목의 대범함이 유금의 정밀함과 만나서 서로를 극하지는 않아도 관여하니 그의 행동이 기이하고 종잡기가 어렵고 하극상을 할수 있다.

@. 묘신원진살 (卯申怨嗔殺)
(단명, 수술, 수족장해, 불구, 부부생사이별 입이 찢어지는 일,
주사, 침, 무릎, 허리, 손발, 봉숭아뼈 상해 행동, 종기, 고환 간,
엉덩이의 상해, 담, 신경통, 관절, 골다공증 등) * 오행적 관점(풀과 장작도끼) = 만남으로 유연함에서 완고한 고집이 서로를 견제하는 형태이지요 그래서 항상 불안하고 위험하며 주변의 염려가 있다.

@. 사술원진 (巳戌怨嗔殺)
(질병, 실패, 고독, 화액, 부부이별, 자식실패, 손발, 가슴앓이,
옆구리, 심장, 위장, 치아, 잇몸 등) * 오행적 관점(불과 금의 관계)
= 사는 뱀이요 뱀은 금과 불이 될수 있는 관계이고 술토는 겉으로는
토이지만 속은 금으로도 불로도 갈수 있는 것이 술토이다. 웃긴 것은
사화는 사유축으로 흘러가려고 하고 술토는 인오술로 흘러가려고 한다
삼합으로도 충이고 사화는 방합은 사오미 불이고 술토는 신유술 금이 다 사화나 술토는 서로가 비슷한 기운이 있지만 무리짓는 것이 달라서
서로가 삼합을 하면 삼합끼리 충이고 방합을 하면 방합끼리 충을 하니
이런 원수가 어디 있을까 남의 뒤를 캐는 것 잘하고 이중성 성격의 소 유자이며 온정과 냉정을 조화를 이루려고 노력하며 이해할수 없는
성격을 보이기도 한다.

@. 진해원진살 (辰亥怨嗔殺)
(독립, 이별, 질병, 액운, 수술, 도난, 자식근심, 염증, 자궁, 피부,
비뇨기과, 위장, 비장, 혈관, 방광, 신장, 치질 등)
*오행적 관점(물이 고여있는 논밭과 바다의 관계) = 그러니 속을
알기 어렵고 예측하기 어려우니 수가 강하니 정력가도 될수 있지만
수의 기운이 강해서 불감증이 될수 있다. 진토는 진열하고 나열하는
형태요 해수는 먹물로도 보는데 물에 불순물이 많은 것이다.
진속에 이물질과 해수속에 이런 이물질이 서로가 공통모인
물이라는 속성으로 인해서 정화되지 못한 형태의 물이 문제가
되는데 이 말은 지혜로움이 변색되는 것이고 다양성이 불순해지는
것이다.
~~~~~~ 5. @ 원진살을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 @ ~~~~~~

(쥐가 양의 배설물을 꺼리는 것 누가 본 사람이 있나)
(자평법에서는 신살을 취급도 하지 않는데 무슨말이야)
(소와 말은 초식동물인데 서로가 왜 불편해 말이 되나)
(고전 명리학에서는 신살을 취급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닭의 울음소리에 호랑이가 도망간다고 말이되나)
(닭을 무서워하는 호랑이가 있다고 참 웃기네)
(토끼가 원숭이의 궁둥을 볼 일이 있을까)
(토끼가 원숭이랑 어울리기나 하나)
(용이 실존하는 동물도 아닌데 돼지 코를 신경쓰나)
(이게 무슨 환타지 소설이야 아님 전설인가)
(개 때문에 뱀이 죽는 경우도 있다고 그럼 개는 뱀에게 물리는 일은
없겠네)


~~~~~~~~~~~~~6. @ 원진살의 통변론 @ ~~~~~~~~~~~~~

(1). 사랑하면 생기는 일
(2). 원진살(怨嗔殺)은 내가 남의 의심이 많아진다.
(3). 재가 원진살이면 애인, 부인, 재물, 부친, 결과물 원망
(4). 관이 원진살이면 남편, 자식, 가치관, 직업 원망
(5). 인성 원진살이면 부모님, 유산상속, 종교, 문서, 학문, 교육 원망
(6). 식상 원진살이면 (말과 행동, 생산활동, 사생활, 거짓말, 교양, 아랫
사람, 과대포장, 성격차이 의심이나 원망)

(7). 원진살(怨嗔殺)하고 귀문관살(鬼門官殺)은 서로가 함께 작용할
때가 많다.

(8). 원진살(怨嗔殺)이 있다는 것은 언제든지 귀문관살로 변할수
있다는 뜻이다.

(9). 귀문관살(鬼門官殺)이라고 해도 내 사주가 강하면 원진살(怨嗔殺)
처럼 작용할수 있고 원진살(怨嗔殺)이라고 해도 내 사주가
약하면 귀문관살(鬼門官殺)처럼 작용할수 있다.

(10). 원진살(怨嗔殺)중에서 가장 강한 원진살은 인유원진살(寅酉怨嗔殺),
묘신원진살(卯申怨嗔殺)이 이다.

(11). 원진살(怨嗔殺)중에서 자미원진(子未怨嗔)과 진해원진(辰亥怨嗔)
두번째이다.

(12). 원진살(怨嗔殺)중에서 사술원진(巳戌怨嗔)과 축오원진(丑午怨嗔) 세번째로 가장 약한 편에 속한다고 한다 그러나 어느 것이 되었든
지 힘이 들어가는 것은 동일하다 다만 강약이 조금 다를뿐이다.

(13). 원진살(怨嗔殺)은 금지된 사랑이라는 말을 한다. 그래서 더욱더
서로가 간절하고 애틋해지는 경향이 있다.

(14). 원진살(怨嗔殺)은 격원진살(格怨嗔殺) 있다 주로 궁합이나 혹은 사람과의 관계를 볼 때 월지를 서로 비교해서 보는 방법으로 격원진살이 되면 서로간의 가치관이나 환경이 처음에는 좋아 보여도 나중에서는 노는 물이 달라서 서로를 이해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원진살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처음에는 서로에게 긍정적인 이미지와 재미를 나중에는 불쾌함 억울함을 주는 형태가 되는데 서로의 다른 환경에서 오는 주변 사람들 내가 그 사람을 험담하거나 혹은 그 사람들이 날 험담하거나 그리고 나중에는 원수가 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15). 어떤 이성하고 내가 년지가 서로가 원진살(怨嗔殺)이되면 조상님이 반대하는 금지된 사랑이 된다. 보통은 자신의 첫사랑이 원진살이 되는 경향이 높은데 여성일 경우에는 첫 관계를 한 사람이라는 설도 있는데 그건 아직 확인 까지는 못했지만 이론적으로 있다고 하니 참고 정도는 하는 편이고 원진살(怨嗔殺) 이지만 그 원진살이 오히려 서로에게 좋은 길신이라면 이야기는 다르겠지만 대부분 끝이 별로

(16). 원진살(怨嗔殺)은 끌림이 강한 살이다. 내 사주에서 어떤 것이
끌림을 강하게 할까 그리고 반대로 그 사람의 어떤 모습이 나를
끌리게 할까. 원진살을 작용을 막는 것은 사랑하지 않는 것 내가
소유하려 하지 않는 것 그리워하거나 애착하거나 하지 않는 것
참 어려운 살이군

(17). 년월(年月)이 원진살 있으면 조상님이나 할아버지 할머니와
부모님의 불화요 시집살이를 할수 있고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기도
하는데 자신이 신약할 경우 위험한 행동도 일순간에 할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18). 년일(年日)이 원진살 있으면 조상을 멀리하는 혹은 업신여기는
자손이며 대체로는 기독교인이 될 가능성이 높고 제사를 지내지
않는다.

(19). 일월(日月)이 원진살이면 있으면 부모 형제와 불화, 이별,
아내와 어머니도 불화하며 성장 환경에 불만이 많았거나 변화가
심할수 있다.


(20). 일시(日時)가 원진이 있으면 부부 애정, 자식 사이가 불화,
이별, 근심 걱정 많고 노후가 불안한데 자식이 패륜적 행위도
나타나고 부모봉양을 외면하는 자식이 생길수 있다. 사주의
신강 신약 떠나서 주위가 필요하다.


(21). 사주에서 원진살(怨嗔殺)이 있는데 대운(大運)이나 년운(年運)에서
원진살(怨嗔殺)이 들어오면 작용이 강해지기 때문에 모든 일들에
막힘이 많다.


(22). 원진살(怨嗔殺)은 떨림과 설렘이 강한 살이고 헤어지면 너무나
보고 싶고 함께 하면 감정이 시들해지며 멀리 있으면 사랑하는
감정이 생기지만 막상 함께 하면 사랑하는 감정이 식는 참 까다로
운 것이 원진살이다.


(23). 대운, 세운에서 원진이 작용할 경우에는 신강하면 자신이 남을
미워하고 씹는 것이고 신약하면 남이 날 구설수, 오르게 하는
것이며 그로 인해서 타격이 크고 오래가는 편이다.


(24). 원진살(怨嗔殺)이 망신(亡身)으로 가면 억울한 일을 당하고 천대받
고 구설수 등을 당할수 있으니 참고 인내하며 행동과 말을 조심해라


(25). 원진살(怨嗔殺)이 망신살이나 양인살과 동주하면 비천하거나
음란해지는데 천을귀인이 동주하면 아름다운 사랑의 행운이
생기도 한다.


(26). 원진살(怨嗔殺)이 상충을 하면 입에서 나오는 소리는 욕설이며
하는 행동은 미친놈이며 어디 있어도 그를 반기는 사람이 없다.


(27). 원진살(怨嗔殺)이 도화라면 아부를 너무 잘하고, 자기보다 약하면,
배신, 갑질, 강하면 그 사람에게 기생하여 득을 보려는 행위를
한다.

(28). 원진살(怨嗔殺)은 불륜의 씨앗이며 흉으로 작용할때는 스와핑도
되는데 전혀 어울리지 않는 이성하고 결합하여 (돈, 몸, 마음)
버리고 추행도 당할수 있고 운에서나 혹은 일진이 12운성으로
특히 사, 절, 묘에 해당하면 음주와 장거리 운전으로 불길해지고
특히 이성과의 교제에서는 좋지 못한 사고를 당하니 꼭 운을 참고
해서 미리 예방해야 된다.


(29). 원진살(怨嗔殺) 물상 대체법을 잘 활용하면 나름 액운을 덜어진다.
그 외에도 다양한데 우선 기본적인 내용을 통해서 궁리하면 적용할
수 있는 것이 많아질 것이다.

1). 자미원진 (子未怨嗔) 물상 :
수분을 흡수한 땅, 양고기 요리, 흑염소 요리와 탕약, 물과 유류를 담은 용기, 산, 물, 논밭, 유류, 주류, 웅덩이, 도자기, 항아리류, 바다. 묘지, 들쥐, 틀에 치인 쥐, 페인트칠, 먹물, 염료, 염색물, 해난, 수난, 홍수,
가옥침수, 수난, 등


2). 축오원진 (丑午怨嗔) 물상 :
시멘트, 페인트, 페인트칠, 엔진기름, 기름찌꺼기, 지하철, 전등,
지하나 굴을 밝히는 불빛, 발동기, 땅을 파는 엔진이 달린 농기계,
논밭을 가는 기구, 진흙, 포장도로, 광산, 탄광, 자동차, 지하 주차장,
독극물, 순간적 폭발성, 마약, 약물, 알코올, 정신질환, 인질범, 자해 범, 공갈범, 차고, 골탈, 우유가공, 성교행위, 기마자세, 진흙으로 만든 기물을 말리는 작업, 건축용, 깨진 항아리와 그릇류 등

 

 

 

[띠궁합] 띠로 보는 좋은 궁합, 나쁜 궁합

띠로 보는 좋은 궁합 ( 띠는 사주의 뿌리가 되므로 너무 무시해서는 곤란하다. 이미 사귀는 중이라면 상관없지만, 소개를 받기 전이라면 상대방의 띠를 알고서 조금이라도 유리한 만남을 추진하

kingant154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