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천수] 사주팔자 신금론(辛金論)

신금의 물상

辛金

 

辛金軟弱 濕潤而淸 신금연약 습윤이청

辛金은 연약하지만 습윤하면 청(淸)해진다

 

畏土之多 樂水之盈 외토지다 요수지영

토가 많은 것을 두려워 하며 수가 많은 것을 즐거워 한다

 

能扶社稷 能救生靈 능부사직 능구생령

이말에는 두가지 견해가 있는데

戊辛壬관계 丙戊甲관계

의 논리가 있습니다..밑에글 참조 하세요.

 

熱卽喜母 寒卽喜丁 열즉희모 한즉희정

뜨거우면 어머니를 기뻐하고 차가우면 丁火를 기뻐한다.

 

1)辛金軟弱 濕潤而淸 신금연약 습윤이청

 

辛金은 인간이 만든

다섯가지 금속의 질이다.

그래서 맑고 윤택해야 좋은 것이다.

 

壬 辛 甲 丙

辰 亥 午 子

 

午月 辛金이 丙火 透干하고 財까지 透干하니 목화가 쌍으로 왕성하다..

기쁜 것은 辛金이 壬水를 보아 도세주옥(淘洗珠玉)하고 殺을 제어해주고 뜨거운 辛金에게 윤기를 주니 귀해졌다.

월령이 편관인데 정관이 투간한 것은 관성(官星)의 탁(濁)기를 논하는데 자오충(子午沖)으로 편관을 제거하고 정관을 남기므로

거살유관(去殺留官*살은제거하고 관을 남기는)이 되었으며

상관 임수와 정관 병화가 서로 인접하지 않고 재성 갑목의

통관이 있으므로 팔자가 맑아 졌다고 해석합니다.

 

 

2)畏土之多 樂水之盈 외토지다 요수지영

 

토가 많은 것을 두려워 하며

수가 많은 것을 즐거워 한다

 

토가 쌓이는 것을 두려워 한다는 말은

무토가 태중하면

물은 마르고 신금은 묻혀버리기 때문이며

물이 많은 것을 좋아한다는 말은

임수가 유여하면

습토로써 양금이 되기 때문이다

 

 

3)能扶社稷 能救生靈 능부사직 능구생령

 

이 말에는 두가지 견해가 있다

 

辛金은 戊土를 설하여 傷官壬水를 도울수가 있으니 능부사직이고 또한 너무 강한 무토를 설(洩)할수 있으므로 능구생령이 된다는 것이다

즉 戊辛壬의 삼각관계를 말한다는 것이고

 

辛金은 丙火가 임금이고 甲木은 백성이 되는 관계인데

辛金의 임금 丙火는 丙火의 조상 甲木을 태워버리는 해가 있으므로 辛金이 임금 丙火와 丙辛合水하여 甲木의 건조함을 풀어주고

생해주니 능구생령이고 또 그 甲木은 辛金의 백성에도 해당하므로

자신의 백성도 구하 셈이 되니 능구 생령이라는 것이다

즉 丙辛甲의 관계라는 말이다.

 

丙 辛 辛 壬

申 亥 亥 辰

 

청나라 2대 황제 홍타이지

 

1592년 임진년 출생한 청나라 2대황제..누르하치의 여덟 번째 아들

동절의 신금 도세주옥하고 병화가 조후하고

운의 흐름이 壬子癸丑甲寅乙卯丙辰丁巳戊午己未 3운부터

동남으로 흐르니 귀(貴)해 졌다.

 

 

4)熱卽喜母 寒卽喜丁 열즉희모 한즉희정

 

뜨거우면 어머니를 기뻐하고

차가우면 丁火를 기뻐한다.

 

여름에 태어나 화가 많은데

己土가 있으면 화기를 약화시키고 金을 생하는 것이며

겨울에 태어나 水가 왕한데

丁火가 있으면

찬 물을 덥혀주고 金을 길러내는 것이다

 

실전 감정에서는 辛金과 丁火는 좋은 관계가 될수 없으니

적천수에서 논하는 한즉희정(寒卽喜丁) 이란 용어는

맹신하여서는 않됩니다.

 

실제로 겨울철 신금(辛金)일주가 정화(丁火)가 투간하여

인접한 팔자를 보았지만 길(吉)보다는 흉(凶)한 경우를

봐왔기 때문입니다.

 

辛金

 

辛-甲 : 月下松影(월하송영)

잘게 부수어져 쓸모 없는 조각. 재적인 성취를 보기 어려움.

 

 

辛-乙 : 利剪摧花(이전최하)

날카로운 가위로 꽃을 자름. 재물이 신속하게 흩어지기 쉬움.

 

 

辛-丙 : 干合佩師(간합패사)

위엄을 발하며 그 권위가 실추되는 일이 좀체 없음.

 

 

辛-丁 : 火燒珠玉(소훼주옥)

주옥을 불에 태워 훼손한 격으로 세상을 모르는 무기력함이 있음.

 

 

辛-戊 : 反吟被傷(반음피상)

타인으로부터의 조력도 별 큰 도움이 안되며 인복이 없는 편임.

 

 

辛-己 : 入獄自刑(입옥자형)

타인으로부터의 조력도 별 큰 도움이 안되며 인복이 없는 편임.

 

 

辛-庚 : 白虎出力(백호출력)

어쩌다 무서운 성격을 드러내면 큰 사고를 일으킬 소지가 강함.

 

 

辛-辛 : 伏吟相剋(복음상극)

복수심을 강화하여 잔인한 성격을 드러낼 소지가 강함.

 

 

辛-壬 : 淘洗珠玉(도세주옥)

지닌 재능을 충분히 발휘하고 더욱이 총명하여 매사 순조로움.

 

 

辛-癸 : 天牢華蓋(천뢰화개)

재능을 다 드러내기도 힘들고 타인에게 인정받기가 용이하지 않음

*신금의 재능과 부(富)를 보고자 한다면

임(壬)수의 세공이 좌우 하는 경우를 많이 봐 왔습니다.

그리고 십간론을 읽고 본인 팔자에 좋은것이 없다고 낙담할 필요 없습니다.

저도 신금 일간인데 임수가 없으니 깐요.

그래도 사회 일원으로 잘 살아가고 있답니다.

십간론은 팔자의 높고 낮음을 판단하는 단식 판단법으로

절대적인 학습법은 아니니 참고는 하되 너무 따르지는 마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