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신살] 도화살(桃花煞) 년살(年煞) "홀리는 힘"

도화살 년살

 

년살(年煞) 도화(桃花)

 

년살(年殺)은

일명 도화(桃花) 함지(咸池) 혹은 패신(敗神)이라고도 하는데

도화의 명칭은 정관에 임하여 희신일 경우 그냥 도화지만

칠살에 임하여 기신일 경우에 도화살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주색 성욕 애정행각에 이성에 대한 지나친 관심

사치 낭비 품행불량 등을 의미하며 선천적으로 시비를 좋아한다.

남자는 비분강개심(悲憤慷慨心)에 풍류심도 있지만

신약자에게는 불리하고 여자는 풍정(風情 바람기)이 많다고 한다.

함지라는 말은

일출부상(日出扶桑) 입어함지(入於咸池)에서 나온 말로

서방(西方)의 칠수(七宿)자리인 그곳은 태양이 지는 곳인데

낙조(落照)시에 그 빛이 휘황찬란하면서도 암매(暗昧)한 연유로

방탕과 음란을 상징한다는 것이다. 宿여러별자리수(列星之位)

 

또한 도화는

십이운성의 목욕과도 동일하므로 오행으로도 표출할 수 있다.

그래서 십이신살의 도화는 지지도화이고

십이운성의 도화는 천간도화라고도 한다.

즉 亥卯未木局의 도화는 子이니 지지도화이고

甲乙木은 십이운성에서 子가 목욕이므로 천간도화라는 말이다.

나머지도 이런 방식으로 유추하면 될 것이다.

 

十二宮自長生至臨官 십이궁은 장생부터 임관까지

皆爲進氣 모두 진기인데

長生如日初升 장생은 태양이 처음 뜨는 것과 같고

沐浴如日旣出 乃氣之陰 목욕은 태양이 이미 뜬 것이니 곧 음기이다.

 

陰柔生旺 음은 유하지만 생왕하면

其力足以吸引一般人 그 힘이 일반사람을 흡인하여

使之愛慕崇拜之心 애모하고 숭배하는 마음을 갖게 하는데

皆以桃花名之 그것을 모두 도화라고 한다.

 

가(歌)에 이르기를

子富妬忌 子는 부유해도 투기하며

午浪漫走 午는 낭만으로 도망하고

卯多淫慾 卯는 음란하며

酉亂人倫 酉는 인륜을 어지럽힌다고 하였다.

도화가 비견이면 홀로 있기를 좋아하고 독신주의자가 많고

겁재이면 유부남과의 염문으로 색난이 염려되며

식신이면 문학과 연예 예술방면에 재주가 있고 성공하며

상관이면 공작적인 조각 공예에 능하지만

용모를 믿고 색정으로 인한 범죄를 일으키기 쉽고

 

재성인데 합이 되면 처가 방탕하고 기만하며 사통하고

정관이고 희신이면 남자는 처로 인하여 치부(致富)하고

여자는 부연(夫緣)이 좋은 귀부인이고

칠살이면 이성간에 색난을 일으켜 궁지에 몰리고

특히 여성은 편첩(偏妾)의 명에

남성에게 성폭행을 당하거나

화류계나 유흥업소 밤무대에 빠지기 쉬우며

편인이면 예술적인 조각 공예에 능하며

스스로 음란하여 동성애나 자위를 많이 한다.

 

도화가 천덕과 동림하면 풍월가무에 정(情)이 있는 신선이고

역마와 동림하는 도화마(桃花馬)는 표류방탕하며

역마 또는 화개와 합이 되어 흉신이 되면

여자는 다른 남자와 도망가기 쉽고

그 영향은 천간에서도 적용된다.

제왕이면 색(色)으로 인하여 망신(亡身)하기 쉬우며

사절이면 언행불손에 간사음탕하며 도박으로

재산탕진이요 은혜를 망각하고 사통(私通)한다.

 

도화가 길신이면 기술성으로 작용하여

재예(才藝)와 기교에 능해도 풍류기는 있는 것이고

형살과 합을 꺼리지만 공망이 되면 길하며

합을 대동하면 반드시 떠돌이 생활을 하고

공망에 귀인이면 남자는 공예품 기능인이 많고

박수무당 혹 술객(術客)이며 여자는 신들린 무녀(巫女)다.

 

◎곤랑도화(滾浪桃花)

천간은 간합이 되고 지지는 子卯상형이 되는 경우로서

특히 丙辛合이나 丁壬合이 있는데

편관이 또 있거나 혹은 정관이 합거(合去)당하고 있는 중에

子卯상형까지 있어서 기신으로 작용하면

황음과 방탕이 극심하여 성병이 염려되며

여자는 창녀요 남자는 여자로부터 원한을 산다고 한다.

 

서(書)에 이르기를

滾浪桃花 男女犯之 남녀간에 곤랑도화를 범하면

好酒色荒淫 因而喪身者有之 주색황음에 불구가 되는 자가 많다.

 

◎편야도화(遍野桃花)

子午卯酉를 전비(全備)했을 경우인데

입격(入格)하여 부귀하게 살지라도

주색에 음란하고 박덕한 사람이 되며

운에서 또 子午卯酉를 만나면 남녀모두 불길하다.

 

◎도삽도화(倒揷桃花)

월일시지를 기준하여 연지에 있는 경우로서

일찍 풍류에 눈을 뜨며 연상(年上)의 이성과 인연이 있다고 한다.

 

◎나체도화(裸體桃花)

일지에 도화가 있는 甲子 丁卯 庚午 癸酉 등으로

남자는 작첩동거에 색난구설이요

여자는 사통(私通)에 부군의 작첩이 있다고 한다.

◎원내도화(園內桃花)

일지를 기준하여 월지에 있는 경우로서

성장환경이 불미하고 유부남유부녀는 사통이 있다고 하며

또 월이면 모(母)가 시(時)면 부(父)가 악사(惡死)한다고도 한다.

 

◎장내도화(牆內桃花)

연월(年月)에 있을 경우로서 부부가 화목하지만 충파되면 흉하다.

 

在年月爲 牆內桃花 연월에 있으면 장내도화라 하여

主夫妻相愛 尙不爲害 부부가 사랑하고 오히려 이로우나

若逢沖破者凶 만약 충파를 만나면 흉하다.

 

◎장외도화(牆外桃花)

일시(日時)에 있는 경우로서 담장 밖의 꽃이니 누구나 꺾으려고 하므로 특히 여자는 매우 불길한 것이다.

 

在時日爲 牆外桃花 일시에 있으면 장외도화라 하여

則人人可採 最爲不吉 사람마다 꺾으려 하니 가장 불길한데

女命更忌 여명은 더욱 꺼린다.

 

*도화는 자오묘유(子午卯酉)가 일단 도화에 해당이 되지만

십이신살(十二神煞)에서

 

해묘미(亥卯未)띠는 자(子)

인오술(寅午戌)띠는 묘(卯)

사유축(巳酉丑)띠는 오(午)

신자진(申子辰)띠는 유(酉)가 정도화(正桃花)가 되지만

 

일단 자오묘유 전체를 도화로 간주해도 된다는 것입니다.

 

전 시간에 올려드린 홍염과는 다른 성격을 띠는 것이 됩니다.

 

홍염은 이성에게 인기있는 것이 되지만

도화는 색정사고나 외정(外情)이 생기거나 부정(不情)이 되는것이고 성(性)적으로 문한하거나 밝힐수 있다는 것인데

팔자의 격(格)이 이쁘지 못하고 흉신(凶神)이 많다면

반드시 이와같은 해석은 필연적이 됩니다.

 

그러나 도화 하나만 보고 이러한 해석을 하는 것은

아주 어리석은 것이니 전체를 볼줄 아는 현명함이 필요할 듯 합니다.

 

도화살 조건

 

도화(桃花)는 원칙적(原則的)으로 일지(日支)를 표준(標準)해서 정(定)하나 때로는 년지(年支)를 표준(標準)으로 정(定)할 때도 있다.

사주(四柱)에 도화(桃花)가 있으면 특히 일주(日柱)와 시주(時柱)에 있으면 남녀불문(男女不問)하고 호색가(好色家)인 경우가 많다.

도화(桃花)가 장생(張生), 건록(建祿), 제왕(帝旺) 등 왕성(旺盛)한 십이운성(十二運星)에 해당하면 용모(容貌)가 아름답다. 그러나 일지(日支)와 시지(時支)에 모두 도화(桃花)가 있으면 주색(酒色)으로 패가망신(敗家亡身)한다.

도화(桃花)가 사(死), 절(絶) 등의 쇠약(衰弱)한 십이운성(十二運星)에 해당하면 교활(狡猾)하고 배은망덕(背恩忘德)하다.

역마(驛馬)와 도화(桃花)가 동주(同柱)하면 음란(淫亂)하고 수치심(羞恥心)이 없으며 바람을 피우는 경우가 많다.

도화(桃花)는 형(刑)이나 합(合)이 되는 것을 꺼리며 공망(空亡)되면 오히려 좋다.

도화(桃花)와 편관(偏官)이 동주(同柱)하면 박복(薄福)하고 정관(正官)과 동주(同柱)하면 복록(福祿)이 있다.